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99 상한병 (傷寒病)

Aktualisiert: 9. Apr. 2022




상한병 (傷寒病)

1. 參照文(참조문)

1) 감기 (感冒)


2. 針灸大成

1) 傷寒腹痛(상한복통)과 吐蛔(토회)로 烏梅(오매)를 口服(구복)하였는데도 不愈時(낫

지 않으면) 9-10日이 지나 死한다. 이때는 中脘(중완)에 一針해서 陽氣恢復(양기회

복)되고 氣痛(기통)하면 治愈(치유)된다. - 肘后歌

2) 傷寒引起(상한으로) 脘悶(더부륵하고) 胸悶(胸脘滿悶, 가슴이 답답하며), 目眩(목현)

汗出不通(한출불통) : 湧泉(용천) - 肘后歌

3) 傷寒引起 더부륵하고 결리면서 脇部積聚 疼痛 : 期門穴(기문혈)

⑴ 當有汗出 或无汗時 : 瀉 合谷穴(합곡혈)

⑵ 若 自汗兼 黃疸 : 復溜穴(복류혈)

⑶ 胸脘痞悶(더부륵) : 支溝(지구) 一穴



3. 舍岩道人針灸要訣

1) 傷寒一日(상한일일) : 九味羌活湯證(구미강활탕증) 또는 十神湯(십신탕) 證

處方 : 膀胱經 受 - 商陽(상양) 補, 三里(삼리) 瀉.

2) 傷寒二日(상한이일) : 葛根解肌湯(갈근해기탕) 證(증)

處方 : 足陽明胃經 受 - 三里(삼리) 補, 臨泣(임읍) 瀉.

3) 傷寒三日(상한삼일) : 小柴胡湯(소시호탕) 증

處方 : 足少陽膽經 受 - 峽谷(협곡) 補, 商陽(상양) 瀉.

4) 傷寒四日(상한사일) : 理中湯(리중탕) 증

處方 : 足太陰脾經 受 - 陰陵泉(음능천) 經渠(경거) 補, 隱白(은백) 瀉.

5) 傷寒五日(상한오일) : 加味四逆湯(가미사역탕) 증

處方 : 足少陰腎經 受 - 陰谷(음곡) 經渠(경거) 補, 太白(태백) 瀉.

6) 傷寒六日(상한육일) : 三味茱更湯(삼미수갱탕) 또는 附子理中湯(부자리중탕)증

處方 : 足厥陰肝經 受 - 陰谷(음곡) 大都(대도) 補, 經渠(경거) 瀉

7) 傷寒七日(상한칠일) : 【內經(내경)】에 이른바『不加氣, 不傳經者(불가기, 불전경자)』

을 말함이니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病(병)이 衰(쇠)

하고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이 受(수)하여 頭痛(두통)이

小愈(소유)한 證(증)

處方 : 小腸經(소장경)의 正格(정격) 및 勝格(승격)을 倂用(병용)한다.

正格 : 臨泣(임읍) 后谿(후계) 補, 通谷(통곡) 前谷(전곡) 瀉.

勝格 : 前谷(전곡) 通谷(통곡) 補. 三里(삼리) 小海(소해) 瀉.

8) 傷寒八日(상한팔일) :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病(병)이 衰(쇠)하고 手陽明大腸經

(수양명대장경)이 受(수)하여 身熱(신열)이 小歇(소헐, 잠시 휴

식중)한 證(증)

處方 : 三里(삼리) 補, 臨泣(임읍) 陷谷(함곡) 瀉. - 抑官(억관), 補身(보

신)의 義(의).

9) 傷寒九日(상한구일) :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의 病(병)이 衰(쇠)하고 手少陽 三焦經

(수소양삼초경)이 受(수)하여 耳聾未聞(이농미문, 귀가 먹어서

들리지 않는) 證(증)

處方 : 竅陰(규음) 瀉, 通谷(통곡) 俠谿(협계) 補.

10) 傷寒十日(상한십일) :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病(병)이 衰(쇠)하고 手太陰肺 經(수

태음폐경)이 受(수)하였으므로 腹痛(복통)이 减(감)해 前(전)과

같고 飮食(음식)을 生覺(생각)하는 證(증)

處方 : 神門(신문) 太白(태백) 補, 隱白(은백) 大敦(대돈) 瀉.

11) 傷寒十一日(상한십일일) :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病(병)이 衰(쇠)하고 手少 陰心經

(수소음심경)이 受(수)하여 渴證(갈증)을 그쳤으나 舌乾

(설건)만은 如前(여전)한 證(증)

處方 : 陰谷(음곡)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12) 傷寒十二日(상한십이일) :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病(병)이 衰(쇠)하고 手厥 陰心包

絡經(수궐음심포락경)이 受(수)하여 대체로 病(병)이 自安

(자안)한 證(증)

處方 : 曲泉(곡천) 補, 大敦(대돈) 瀉(사).

13) 傷寒通治(상한통치) 處方 : 商陽(상양) 補, 三里(삼리) 瀉.

14) 傷寒無汗惡寒(상한무한오한) : 寒邪(한사)를 받아 땀은 나지 않으나 오한이 나는 證

(증)

處方 : 四關(사관, 合谷(합곡) 太冲(태충) 左右穴(좌우혈)) 上

瀉(상사), 下補(하보)한다.

15) 傷寒多汗驚怛(상한다한경달) : 傷寒(상한)으로 땀을 많이 흘리고 경악할 만큼 놀라

는 증.

處方 : 大敦(대돈) 瀉, 商丘(상구) 補.

16) 傷寒多汗惡風(상한다한오풍) : 땀이 많고 바람을 싫어하는 증

處方 : 太白(태백) 補, 少府(소부) 瀉.

17) 傷寒多汗身熱(상한다한신열) : 땀이 많고 몸에 열이 나는 증

處方 : 太白(태백) 瀉, 經渠(경거) 補.

18) 急傷寒(급상한) : 急作(급작스럽게)히 寒邪(한사)에 損傷(손상)을 받다.

處方 : 商陽(상양) 補.

19) 色傷寒(색상한) : 犯房傷寒(범방상한)

處方 : 腎(신)의 正格(정격) 및 勝格(승격)을 倂用(병용)하라.

正格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勝格 : 太白(태백) 太谿(태계) 補, 湧泉(용천) 大敦(대돈) 瀉.

20) 運傷寒(운상한) : 染病(염병) 장질부사

處方 : 一日(일일) - 風府(풍부),

二日(이일) - 二間(이간),

三日(삼일) - 中渚(중저), 臨泣(임읍).

四日(사일) - 少商(소상), 隱白(은백).

五日(오일) - 神門(신문), 太谿(태계).

六日(육일) - 中封(중봉), 靈道(령도), 間使(간사).

治法 : 諸穴(제혈)에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傷寒(상한)이라 하는 것은 秋(추)의 霧露(무로)와 冬(동)의 霜雪(상설)등의 寒邪

(한사) 즉 이른바 天地殺厲(천지살려)의 氣(기)에 受傷(수상)한 것을 말한 것으

로서 古人(고인)에 觸感(촉감)되어 곧 發(발)하는 것을 傷寒(상한)이라 하고 곧 病(병)이

되지 않고 肌肉之間(기육지간)에 藏(장)하고 營衛之內(영위지내)에 伏(복)하였다가 春

(춘)에 至(지)하여 溫煖(온난)의 氣(기)로 因(인)하여 發(발)하는 것을 溫病(온병)이라하

고, 夏(하)에 至(지)하여 暑熱(서열)의 氣(기)로 因(인)하여 作(작)하는 것을 熱病(열병)이

라 하였다. 그러나 愚(우)의 見解(견해)로는 大槪吾人(대개오인)의 身體(신체)가 寒(한)

에 觸感(촉감)되면 溫度(온도)가 放散(방산)되기 때문에 이때에 皮膚(피부)는 반듯이 停

水難運(정수난운)이 된다. 이 現狀(현상) 즉 寒邪(한사)의 致傷(치상)으로 因(인)하여 생

기는 병증을 傷寒(상한)이라 한 것으로서 西醫(서의)에서는 所謂(소위) 膓熱病(장열병)

이라 하고 日本譯名(일본역명)으로는 膓窒扶斯(장질부사)가 그것일 것이다. 대개 傷寒

(상한)의 治法(치법)은 古今(고금)의 學者(학자)가 그 主見(주견)을 달리하여 혹은 日數

(일수)로써 拘(구)하는 것도 不可(불가)하고 또한 次序(차서)로써 例(예)를 삼는 것도 不

可(불가)하다 하였으니 宋(송)의 朱肱(주굉)은 其所著(기소저) 活人署(활인서)에서 一

二日(일이일)에는 發表(발표)해서 散(산)하는 것이 妥當(타당)하고 三四日(삼사일)에는

和解(화해)해서 낫게 하는 것이 適宜 (적의)하며 五六日(오육일)이 되도 풀리지 않고 便

(변)이 實(실)하면 바야흐로 下(하)하는 것을 議(의)함이 可(가)하다. 하였으며 舍岩(사

암)은【素問熱論】에 依據(의거)하여 日數(일수)로써 爲主(위주)하여 上(상)과 如(여)한

治法(치법)을 立(입) 하였다.

舍岩經驗例(사암경험예)

傷寒(상한)이라 함은 俗間(속간)에서 말한 厲疾(려질)이 그것으로서 七八日(칠팔일)된

것은 汗(한) 하여야 하며 瘟疫(온역)이라 함은 十四日(십사일) 이상의 것을 말하는 것이

다. 二日(이일)이라면 二日方(이일방)을, 三日(삼일)이라면 三日方(삼일방)을 써야 한다.

多驗(다험)하므로 復記(복기)치 않는다.

2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entários


Os comentários foram desativad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