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28 / 상병첨 (上屛尖) - 선혈방법 (選穴方法)

Aktualisiert: 13. Aug. 2019


상병첨 (上屛尖) : 이혈(耳穴) - 병첨(屛尖)

定位 : 이병(耳屛) 상부(上部)에 볼록하게 나온 끝부분이다.

主治 : 치통(齒痛), 사시(斜視).

상성 (上星) : 독맥(督脈) - 명당혈(明堂穴)

GV-23 定位 : 전두(前頭) 발제(髮際) 정중선(正中線) 뒤 1寸

效能 : 청간명목(淸肝明目), 개통비규(開通鼻竅).

主治 : 전두통(前頭痛), 목현(目眩), 목적종통(目赤腫痛), 영풍유루(迎風流 淚), 비

염(鼻炎), 뉵혈(衄血), 유체(流涕), 비치(鼻痔)(鼻息肉), 비통 (鼻痛), 정신병

(精神病), 간질병(癎疾病), 전광(癲狂), 소아경풍(小兒 驚風), 학질(瘧疾), 열

병(熱病).

現代 : 두통(頭痛), 부비동염, 비용(鼻茸), 각막염(角膜炎), 안통(眼 痛). 비인

두암(鼻咽竇癌)의 배합혈(配合穴).

臨床 : ① 뉵혈(衄血) 비염(鼻炎) - 加 영향(迎香), 합곡(合谷).

② 뉵혈(衄血) - 加 소료(素髎), 영향(迎香).

③ 비염(鼻炎) - 加 합곡(合谷), 태충(太冲).

④ 두통(頭痛), 목현(目眩) - 加 풍지(風池), 천주(天柱).

⑤ 두풍(頭風) - 加 백회(百會), 합곡(合谷).

⑥ 학질(瘧疾) - 加 구허(丘墟), 양곡(陽谷).

操作 :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상양 (商陽)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 - 오수혈(五輸穴)의 정혈(井穴)(金)

定位 : 식지(食指) 요측(橈側) 손톱각 옆 일 푼 되는 곳.

效能 : 해표사열(解表瀉熱), 소설(疏泄) 양명사열(陽明邪熱), 청폐이인(淸肺 利咽),

개규지경(開竅止痙).

主治 : 중풍혼미(中風昏迷), 고열(高熱), 인후종통(咽喉腫痛), 아래뺨 부음, 하치통

(下齒痛), 이농(耳聾), 이명(耳鳴), 청맹(靑盲), 열병무한(熱病 无汗), 혼궐(昏

厥), 중풍혼미(中風昏迷), 해수기천(咳嗽氣喘), 견통(肩 痛), 수지마목(手指

麻木), 구내염(口內炎), 후두염(喉頭炎), 편도선염 (扁桃腺炎), 안면조직염

(顔面組織炎), 흉막염(胸膜炎), 구강부(口腔部) 근육위축(筋肉萎縮). 간암(肝

癌), 식도암(食道癌), 폐암(肺癌)의 발열증(發熱症).

臨床 : ① 중풍혼미(中風昏迷) - 加 수구(水溝), 백회(百會), 내관(內關).

② 인후종통(咽喉腫痛) - 加 소상(少商), 합곡(合谷).

操作 : 0.1寸 직자(直刺), 或은 점자출혈(點刺出血), 가구(可灸).

상영향 (上迎香) : 기혈(寄穴)EX - 두경부(頭頸部)HN

EX-HN8 定位 : 얼굴 비익연골(鼻翼軟骨)과 비갑(鼻甲)이 만나는 자리, 비순구(鼻脣泃)

옆 상단(上端)이다.

主治 : 두통(頭痛), 비색(鼻塞), 비중식육(鼻中瘜肉), 폭발화안(暴發火眼), 영풍

유누(迎風流泪)

操作 : 내상방(內上方)을 향해서 0.3~0.5촌 사자(斜刺). 가구(可灸)

상완 (上脘) : 임맥(任脈)

CV-13 【甲乙】에 임맥(任脈) 족양명(足陽明) 수태양(手太陽)의 會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배꼽위(臍上) 5寸.

效能 : 리비위(理脾胃), 화담탁(化痰濁), 소생기(疏生氣), 영신지(寧神志)

主治 : 위동통(胃疼痛), 급만성위염(急慢性胃炎), 위확장(胃擴張), 위경련(胃痙攣),

분문경련(賁門痙攣), 복창(腹脹), 구토(嘔吐), 애기(噯氣), 소화 불량(消化不

良), 황달(黃疸), 설사(泄瀉), 간질증(癎疾證) 식도암(食道癌), 위암(胃癌)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 ① 위장병(胃腸病), 구토(嘔吐), 복창(腹脹) -

加 중완(中脘), 족삼리 (足三里), 내관(內關), 천추(天樞).

② 위완통(胃脘痛) - 加 중완(中脘).

③ 분문경련(賁門痙攣) - 加 내관(內關), 공손(公孫).

④ 급성위염(急性胃炎) - 加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수삼리(手 三里),

⑤ 간질병(癎疾病) - 加 풍지(風池), 풍륭(豊隆), 신맥(申脈), 후계(后 溪), 조

해(照海).

操作 : 1~1.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상이근 (上耳根) : 이혈(耳穴)

定位 : 이배부(耳背部) - 귀끝의 제일 윗면이다.

主治 : 지통(止痛), 반신불수(半身不遂) 전신마비(全身痲痺), 비혈(鼻血)

상이근 (上耳根) : 기혈(寄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이개(耳介)의 상근부(上根部) 중앙에 있다.

主治 : 반신불수(半身不遂), 척수측삭경화증(脊髓側索硬化症).

治法 : 0.5~1寸 사자(斜刺).

상이배 (上耳背) : 이혈(耳穴)

定位 : 이배부(耳背部) - 귀곽 뒷면의 윗면 열골이 돌출한 부분니다.

主治 :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허리 등어리통증(腰背痛), 지양(止痒).

상정명 (上睛明) : 신혈(新穴) - 내안(內眼) ; 두경부(頭頸部)

定位 : 정명혈(睛明穴) 위 약 0.2寸

主治 : 시신경위축(視神經萎縮), 각막백반(角膜白斑), 사시(斜視), 유루증(流

淚症, 流泪症), 굴절이상(屈折異常).

操作 : 1~1.5寸 직자(直刺)

상팔사 (上八邪) : 기혈(寄穴)

定位 : 가볍게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등의 제 1~5 중수지절관절(中手 指節

關節)의 후연(后緣)에 오목한 함요부(陷凹部).

主治 : 번열(煩熱), 두통(頭痛), 두항통(頭項痛), 치통(齒痛), 인후통(咽喉 痛),

목통(目痛), 수지관절(手指關節) 질환(疾患), 지마목(指麻木)과 통증(痛

症),독사교상(毒蛇咬傷).

臨床 : ① 수지관절종통(手指關節腫痛) - 加 곡지(曲池), 외관(外關).

操作 : 직자(直刺) 0.3~0.5寸

상팔사(上八邪)의 개별명(個別名)은

제 1, 2 중수골(中手骨) 사이는 합곡혈(合谷穴)이고,

제 2, 3 중수골(中手骨) 사이와 제 3, 4 중수골(中手骨)사이는

외노궁혈(外勞宮穴)이며, 제 4, 5 중수골(中手骨) 사이를 중저혈(中渚

穴)이라고 부른다.

상팔풍 (上八風) : 기혈(寄穴)

定位 : 족(足) 제一1~5 중지관절(中趾關節) 후연(后緣) 중족골(中足骨) 사이,

좌우를 합쳐 8 穴로써 태충(太冲), 함곡(陷谷) 지오(地 五)의 3穴을 포함

主治 : 두통(頭痛), 치통(齒痛), 위통(胃痛), 월경불순(月經不順), 학질(瘧 疾), 독

사교상(毒蛇咬傷), 족배부(足背部) 족지홍종(足趾紅腫), 말초신경염(末

梢神經炎).

臨床 : 족배홍종(足背紅腫) - 加 족삼리(足三里), 양능천(陽陵泉).

操作 : 직자(直刺) 0.5~1 寸, 가구(可灸)

상합 (上頜) : 이혈(耳穴)

定位 : 이수(耳垂)에 제 3區의 중앙(中央)이다.

主治 : 합(頜)의 관절염(關節炎)

상해계 (上解溪) ⇒ 뇌청 (腦淸)

생식구 (生殖區) : 두침(頭針)

定位 : 이마각 발제(髮際)에서 위로 전후정중선과 평행되는 2cm 길이 의 직

선이다. 발제에서 아래로 2cm는 장구(腸區)에 해당 된다.

主治 : 공능성 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분강염(盆腔炎), 자궁탈수(子宮脫

垂).

석관 (石關)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KI-18 【甲乙】에 충맥(冲脈) 족소음(足少陰)의 會

定位 : 배꼽위(臍上) 3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0.5寸.

主治 : 구토(嘔吐), 복통(腹痛), 변비(便秘), 불임증(不姙症), 위통(胃痛), 애역(呃逆),

식도경련(食道痙攣).

臨床 : ① 식후구토(食后嘔吐), 심하견만(心下堅滿) -

加 격수(膈兪), 중완 (中脘), 족삼리(足三里).

② 불임증(不姙症) - 加 기문(箕門), 자궁(子宮).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석문 (石門) : 임맥(任脈) CV-5 삼초(三焦)의 모혈(募穴)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배꼽아래(臍下) 2寸.

主治 : 경폐(經閉), 붕루(崩漏), 대하(帶下),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 血), 소

변불리(小便不利), 뇨폐(尿閉), 복통(腹痛), 급성하복통(急性下 腹痛), 수종

(水腫), 설사(泄瀉), 변비(便秘), 산기(疝氣), 유선염(乳腺 炎), 유방질환(乳房

疾患).

臨床 : ① 산기(疝氣) - 加 중극(中極), 귀래(歸來).

② 뇨폐(尿閉), 유뇨(遺尿),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경불조 (經不

調), 통경(痛經) - 加 삼초수(三焦兪), 관원(關元), 삼음교(三 陰交).

操作 : 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임신부(姙娠婦) 금지(禁止).

선기 (璇璣) : 임맥(任脈)

CV-21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흉골병(胸骨柄) 중앙.

主治 : 해수(咳嗽), 기천(氣喘),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 만성기관지염(慢性 氣管

支炎), 흉통(胸痛), 인염(咽炎), 인종(咽腫), 소화불량(消化不良), 식도경련

(食道痙攣), 분문경련(賁門痙攣), 수장불하(水漿不下), 소아 (小兒) 연유불리

(嚥乳不利).

臨床 : ① 인염(咽炎), 인종(咽腫) - 加 구미(鳩尾).

② 천식(喘息, 哮喘) - 加 대추(大椎), 해천(咳喘).

③ 소화불량(消化不良) - 加 족삼리(足三里), 사봉(四縫).

④ 식도경련(食道痙攣) - 加 천돌(天突), 내관(內關).

⑤ 오랜 체증으로 여위고 氣喘하는데는 - 加 기해(氣海).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선혈방법 (選穴方法)

수혈(腧穴)은 침구치료(針灸治療) 조작(操作)을 실현하게 되는 구체적인 부위이 다.

각 경락(經絡)과 각 수혈(腧穴)은 일정한 주치작용(主治作用)을 한다. 그럼 으로 경락

(經絡)과 기혈(氣血)을 조절(調節)하여 치료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당

한 수혈(腧穴) 위에서 치료를 진행하여야 그 합당한 치료효과(治療 效果)를 구할 수

있다. 경상적으로 사용되는 혈선택방법(穴選擇方法)은 다음과 같다.

1) 近部先穴 : 병(病)든 장부(臟腑), 지체(肢體), 육관(六官) 혹은 환부(患部) 근접혈(近

接穴)을 선택하는 침구치료법.

2) 遠部先穴 : 환부(患部)와 떨어진 부위의 혈(穴)을 선택하여 치료하는 방법.

3) 本經先穴 : 본경과 먼 곳의 수혈(腧穴)을 선택하여 취혈(取穴)하는 방법이다.

例 - ① 해수(咳嗽), 천식(喘息)은 폐경(肺經)의 열결(列缺), 척택(尺澤), 태연

(太淵)을 취하고

② 위통(胃痛)에는 족삼리(足三里), 상거허(上巨虛)를 취하여 치료하는

것과 같다.

4) 異經先穴 : 질병(疾病)의 발생 발전의 변화과정에서 여러 가지 병들의 변화는 어

느 한 경(經) 한 장기(臟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때때로 장 부(臟腑)

사이와 경락(經絡)사이에 호상연계로 발생하는 영향을 준 다. 때문에

치료조치(治療措置)는 당연히 상호관계를 돌보는데 주의 해야 하며 혈

(穴)을 선택할 때 변증시치(辨證施治)해야 한다.

例 - 구토(嘔吐)는 위기불강(胃氣不降)의 결과이므로 중완(中脘), 족삼리혈

(足三里穴)을 선택해서 화위강역(和胃降逆)해야 하는데 만약 구토(嘔

吐)가 간기상역(肝氣上逆)으로 인하여 위기불강(胃氣不 降)으로 발전

된 것이면 족궐음(足厥陰)의 태충혈(太冲穴)과 방광경 (膀胱經)의 간수

혈(肝兪穴)을 선택해서 평간강역(平肝降逆)시키어 지토(止吐)되도록

한다. 즉 위토(胃土)가 간목(肝木)의 침해(侵害) (侮)를 받지 않게 하여

위(胃)가 평안(平安)을 찾아 구토를 멎게 한 다.

5) 辨證先穴 : 어느 한 질병(疾病)을 상대로 수혈(腧穴)의 주치공능(主治功能)과 결 합

하여 부동한 증후의 증형(證型)에 따라 혈(穴)을 선택해서 처방을 결정

하는 방법이다.

例 - ① 대추혈(大椎穴)은 사열(瀉熱),

② 수구혈(水溝穴)은 소궐(疏 厥),

③ 내관혈(內關穴)은 해울(解鬱),

④ 신문혈(神門穴)은 안 신(安神),

⑤ 태충혈(太冲穴)은 소간(疏肝),

⑥ 천돌혈(天突穴)은 강 역(降逆),

⑦ 기허(氣虛)는 관원(關元),

⑧ 탈항(脫肛)은 백회(百會),

⑨ 기해(氣海)는 익기(益氣),

⑩ 열결(列缺) 풍지(風池)는 선폐거풍 (宣肺祛風),

⑪ 척택(尺澤) 풍륭(豊隆)은 지수화담(止嗽化痰),

⑫ 풍문(風門) 폐유(肺兪)는 통선리폐(通宣理肺) 등등은 모두 변증선혈

(辨證先穴)의 범례에 속한다.

6) 依時先穴 : 천인상응(天人相應)과 장기법시(藏氣法時) 이론의 지도아래 부동한 시

간(時間)에 부동한 혈(穴)을 선택해서 치료하는 방법으로 침구치료 하

기 힘든 병에 사용하는 특수한 치료방법이다.

2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