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25 / 사봉 (四縫) - 사해 (四海)

Aktualisiert: 16. Juli 2021


사봉 (四縫) : 기혈(寄穴)EX - 상지부(上肢部)UE

EX-UE10 定位 : 제 2, 3, 4, 5 손가락(指)의 장측(掌側) 제 2 횡문(橫紋) 중앙(中央).

主治 : 소아감적(小兒疳積), 소아(小兒) 소화불량(消化不良), 백일해(百日咳), 해수

(咳嗽), 천식(喘息), 설사(泄瀉), 회충(蛔虫), 수지관절염(手指關 節炎).

臨床 : ① 백일해(百日咳) - 加 내관(內關), 합곡(合谷).

② 소아(小兒) 소화불량(消化不良) - 加 족삼리(足三里).

操作 : 점자(点刺)하여 황백색(黃白色) 점액출하(粘液出下)

사시취혈 (四時取穴)

1. 針灸大成解釋

봄(春) :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의 사이를 취(取)한다.

여름(夏) : 주리(腠理)를 取한다.

가을(秋) : 수혈(兪穴) - 사음사(瀉陰邪), 사양허사(瀉陽虛邪) - 합혈(合穴)

겨울(冬) : 정혈(井穴), 형혈(滎穴) -

정혈(井穴) : 음기(陰氣)를 역행(逆行),

형혈(滎穴) : 양기(陽氣)를 실(實)하게

2. 황제(黃帝)와 기백(岐伯)의 문답(問答) -《素問․水熱穴論》

1) 黃帝 - 봄철에 침치료(針治療) 할 때는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을 어떻게 취하

는가?

岐伯 - 봄철에는 모든 만물이 시작함을 다스리고, 간기(肝氣)는 처음으로 생기

게 하고, 간기(肝氣)는 급하며, 그 바람은 빠르고, 경맥(經脈)은 항상 깊

이 있으며, 그 기운 은 적어서 깊이 들어갈 수가 없는 고로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의 사이를 취 (取)하는 것입니다.

2) 黃帝 - 여름에는 락맥(絡脈)이 성(盛)한데, 어찌하여 주리(腠理)를 취(取)하는

가?

岐伯 - ① 여름은 화기(火氣)가 시작되므로 심기(心氣)가 번성하기 시작하며,

맥(脈)은 마르고 기운(氣運)이 약한데, 양기(陽氣)는 머물러 넘치고,

열(熱)은 주리(腠理) 부분(部分)에서 찌고, 안으로는 경(經)에 들어가

닿는 고로, 양맥(陽脈)이 성(性)하므로 주리(腠理)를 취(取)합니다.

② 침(針)을 찌르면 병(病)이 물러가는 것은 사기(邪氣)가 얕게 있기 때

문입니다.

3) 黃帝 - 가을에는 어느 경(經)의 수혈(兪穴)을 취(取)하는가?

岐伯 - ① 가을은 금(金)으로서 다스림을 시작하므로 폐경(肺經)을 취하는데,

폐기(肺氣) 는 거두어들이고(收斂), 살(殺)하고자 하는 것이니 금(金)

은 장차 화(火)를 이기려(견제(牽制)-극(克, 견제)) 하는 것 입니다.

② 양기(陽氣)가 합혈(合穴)에 있을 때 음기(陰氣)가 처음으로, 이기는 것

이고, 습기(濕氣)가 몸에 있어(土克水) 음기(陰氣)가 성(盛)하지 못하

면 깊이 들어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혈(兪穴, 肺兪)을 취

(取)하여 음사(陰邪)를 사 (瀉)하고, 허약(虛弱)한 양사(陽邪)는 합혈

(合穴, 尺澤穴)을 取하면 양기(陽氣)가 쇠약(衰弱)하기 시작하는 고로

합혈(合穴)을 取하는 것입니다. (오수혈(五輸穴)의 합혈(合穴))

4) 黃帝 - 겨울에는 어째서 정혈(井穴)과 형혈(滎穴)을 취(取)하는가?

岐伯 - 겨울에는 물로써 다스림을 시작하므로, 신방(腎方)의 북방(北方)은 얼음

이 얼어 만물을 꼭 닫기 때문에 양기(陽氣)는 미약(微弱)해지고 적어지

며, 음기(陰氣)는 튼튼하게 성(盛)하여져서 태양(太陽)의 기운(氣運)은

숨어들고 맥(脈)은 침체되므로 양맥(陽脈)은 마침내 없어지는 고로 정혈

(井穴)을 취(取)하여 아래에 있는 음기(陰氣)를 역행(逆行)시키고, 형혈

(滎穴)을 취(取)하여 양기(陽氣)를 실(實)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겨울에

는 정혈(井穴)과 형혈(滎穴)을 취(取)하면 봄에 가서 코피(衄血)가 나지

않게 됩니다.

사신총 (四神聰) : 기혈(寄穴)EX - 두경부(頭頸部)HN

EX-HN1 【圖翼】에 백회혈(百會穴) 앞 1寸은 전신총(前神聰), 백회혈(百

會穴) 뒤 1寸은 후신총(后神聰)이라 하였다.

定位 : 백회혈(百會穴) 전후좌우 각 1寸.

主治 : 거풍산열(祛風散熱), 정간지현(定癇止眩).

중풍(中風) 반신불수(半身不遂), 두통(頭痛),편두통(偏頭痛),현운(眩暈),

우울증(憂鬱症), 발광증(發狂症), 간질증(癎疾證), 실면 (失眠), 건망증

(健忘症). 뇌하수체암(腦下垂体癌)의 배합혈(配合穴).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사십구호 (四十九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뒤꿈치 정중선 위로 1 촌이다.

主治 : 감기(感氣) 두통(頭痛) 상합두염(上頜竇炎) 비염(鼻炎)

사십사호 (四十四号) : 족침(足針)

定位 : 작은 발가락 첫 가로무늬의 중점이다.

主治 : 유뇨(遺尿) 뇨빈증(尿頻症)

治法 : 0.5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사십오호 (四十五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바닥 모,식지 사이에서 뒤로 1 촌이다.

主治 : 치통(齒痛)

治法 : 0.5~1寸 직자(直刺)한다.

사십육호 (四十六号) : 족침(足針)

定位 : 식지의 第二 지관절(指關節) 내측 적백육제(赤白肉際)이다.

治法 : 0.1~0.3 寸 점자(點刺)한다.

사십칠호 (四十七号) : 족침(足針)

定位 : 중지의 제이 지관절 내측 적백육제(赤白肉際)이다.

主治 : 두통(頭痛)

治法 : 0.1~0.3寸 점자(點刺)한다.

사십팔호 (四十八号) : 두침(頭針)

定位 : 무명지의 제 이 지관절 내측 적백육제(赤白肉際)이다.

治法 : 0.1~0.3寸 점자(點刺)한다.

사죽공 (絲竹空)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23 【甲乙】에 족소양(足少陽) 맥기(脈氣)가 나온다.

【聚英】에 수족소양(手足少陽) 맥기(脈氣)가 나

온다.

定位 : 눈섭 외측 끝에 오목한 함요부(陷凹部).

效能 : 소풍청열(疏風淸熱), 거풍활락(祛風活絡)

主治 : 두통(頭痛), 목현(目眩), 목적종통(目赤腫痛), 안검순동(眼瞼瞤 動), 치통

(齒痛), 간질병(癎疾病) (전간(癲癎).

現代 : 안질환(眼疾患), 근시(近視), 결막염(結膜炎),각막백반(角膜白斑),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 편두통(偏頭痛), 신경성두통(神經

性頭痛), 면기경련(面肌痙攣) 마비(痲痹)

臨床 : ① 안병(眼病) - 加 찬죽(攢竹), 태양(太陽), 정명(睛明).

② 간질병(癎疾病) - 加 수구(水溝), 백회(百會), 합곡(合谷).

③ 편두통(偏頭痛) - 加 중저(中渚), 풍지(風池).

④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 - 加 찬죽(攢竹),사백(四白),지창(地倉).

⑤ 안구홍종(眼救紅腫) - 加 찬죽(攢竹)을 각각 배용(配用)한다.

操作 : 0.5~1寸 평자(平刺). 금구(禁灸).

사중 (四中) : 신혈(新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백회혈(百會穴) 전후좌우 각 2~3寸.

主治 : 뇌수종(腦水腫)

操作 : 1~2寸 횡자(橫刺)

사해 (四海) : 경락(經絡)의 사해(四海)란 즉 해(解)는 백 갈래의 냇물이 모이는 곳이며, 넓고 큰

회합(滙合)을 의미하는 말이다. 십이경(十二經)의 혈기(血氣)가 모 든 냇물(百川)

처럼 일정한 부위에 모이는 것을 해(海)로 비유하였다.

【靈樞․海論】에 기(氣), 혈(血), 수(髓), 수곡(水谷) 등 넷이 모이는 곳을 사해(四海)

라 불렀다.

사해(四海)는 뇌(腦)를 수해(髓海), 전중(顫中)을 기해(氣海), 위(胃)를 수곡지해(水

穀之海), 충맥(冲脈)을 혈해(血海)로 하며 또 십이경(十二經)의 해(海)라고 부른다.

사해(四海)의 부위는 기가(氣街)와 비슷한데 경락운행으로 기혈정미(氣血精微)

즉 기혈진액(氣血津液)이 함께 모이어 사해(四海)를 형성(形成)하였고, 이들의 머

리, 가슴, 복부, 다리의 통행경로(通行經路)는 기가(氣街)이다.

뇌(腦)는 수해(髓海)이며 머리에 위치되었고 머리의 기가(氣街)와 합하였다. 전중

(顫中)은 기해(氣海)이며 종기(宗氣)가 모이는 곳이고, 가슴에 위치 되 었으며 가

슴의 기가(氣街)와 합한다. 위(胃)는 수곡해(水谷海)이며 상복부 (上腹部)에 위치

되였는데 복부(腹部)의 기가(氣街)와 합한다. 충맥(冲脈)은 혈해(血海)이며 하복

부(下腹部)에 위치 되였는데 다리의 기가(氣街)와 일치 한다.

四海 및 通하는 穴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