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청 (四季靑) Ilex chinensis Sims 葉(엽)
性味 : 味苦 澁, 性寒. 歸經 : 肺 心. 用量 : 15 ~ 30g
功能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止血(양혈지혈), 斂瘡(렴창).
臨床 : 1) 淸熱解毒(청열해독) ; 水火燙傷(수화탕상), 下肢潰瘍(하지궤양), 濕疹(습진), 熱
毒瘡瘍(열독창양)
⑴ 燙傷(탕상) 下肢潰瘍(하지궤양)
① 乾葉硏細粉(건엽연세분)을 麻油調敷(마유조부)한다.
⑵ 濕疹(습진) :
① 乾粉撒布(건분살포)
⑶ 熱毒瘡癤(열독창절) 初起(초기) :
① 鮮葉(선엽) 搗敷患處(도부환처)
2) 收斂止血(수렴지혈)
⑴ 外傷出血(외상출혈)
① 鮮葉(선엽) 搗敷傷口(도부상구),
② 혹은 乾葉(건엽) 硏細(연세) 撒敷在傷口(살부재상구)
3) 其他(기타) : 風熱感冒(풍열감모), 肺熱咳嗽(폐열해수), 咽喉腫痛(인후종통), 熱
淋澀痛(열림삽통) 및 熱毒瀉痢(열독사리) 등
사과락 (絲瓜絡-祛風濕淸熱) Luffa cylindrica Roemer 果絡(成熟果實中的維管束) 수세미
性味 : 味甘, 性平. 歸經 : 肺 胃 肝. 用量 : 10 ~ 15g
成分 : dammarane triterpenes, KNO3, 고미질 luffein이 含有
功能 : 通經(통경) 活絡(활락) 活血(활혈) 祛風(거풍)
主治 : 痹痛拘攣(비통구련), 胸脇脹痛(흉협창통), 乳汁不通(유즙불통), 婦女經閉(부녀경
폐). 葯效(약효) : 果實(과실)은 通經(통경), 催乳(최유), 血行不栓治療(혈행부전치
료), 鎭咳(진해), 利尿(이뇨)에 使用(사용) 한다. 줄기에서 滲出液(삼출액)을 모아
皮膚美容(피부미용), 化粧水(화장수)로 사용한다.
臨床 : 1) 通經活絡(통경활락)
⑴ 風濕痹痛(풍습비통), 骨節疼痛(골절동통), 肌肉頑麻(기육완마), 手足筋脈拘
攣(수족근맥구련)
① 加 秦艽(진교), 防風(방풍), 當歸(당귀), 鷄血藤(계혈등) 등 祛風養血葯(거
풍양혈약)을 配伍(배오)한다.
★ 반드시 桑枝(상지), 秦艽(진교), 海風藤(해풍등) 等 祛風通絡葯(거풍통락
약)을 配合(배합) 함을 要(요)한다.
⑵ 脇肋疼痛(협늑동통)
① 加 瓜蔞皮(과루피), 桔梗(길경), 枳殼(지각) : 寬胸理氣葯(寬胸理氣葯(관
흉리기약)
⑶ 解毒消腫(해독소종) : 淸熱解毒葯(청열해독약), 癰疽瘡腫(옹저창종)
① 加 銀花(은화), 蒲公英(포공영)
2) 淸熱化痰(청열화담)
⑴ 胸痹(흉비) 化痰通絡(화담통락) - 痰氣壅滯(담기옹체), 痰多咳嗽(담다해수),
胸悶疼痛(흉민동통), 癰疽瘡腫(옹저창종)
① 加 瓜蔞(과루), 薤白(해백), 橘絡(귤락)
⑵ 咳嗽痰多(해수담다)
① 絲瓜絡炭(사과락탄) 加 大棗肉(대조육)- 丸劑(환제) 溫酒送服(온주송복)
3) 行氣通絡(행기통락)
⑴ 肝鬱氣滯(간울기체) 脇下脹滿疼痛(협하창만동통)
① 加 柴胡(시호), 鬱金(울금), 白芍(백작)
⑵ 乳癰(유옹) : 肝胃熱結(간위열결), 乳房生癰(유방생옹), 腫痛寒熱(종통한열)
① 單用爲末(단용위말) 內服或外敷(내복혹외부),
② 亦可與(역가여) 蒲公英(포공영), 貝母(패모), 瓜蔞(과루)
③ 瓜絡炭(과락탄), 硏末后(연말후) 酒送服(주송복)
사과초 (蛇果草) : 뱀딸기, 사매(蛇莓), 정창초(疔瘡草) ☆☆☆☆ 抗癌劑(항암제)
사군자 (使君子-驅蟲) Quisqualis indica L. 成熟果實(성숙과실)
☞五楞子(오릉자), 留求子(류구자)
性味 : 味甘, 性溫. 歸經 : 脾 胃. 用量 : 9~12g, 仁 6~9g
葯理 : 驅虫(구충), 抗眞菌(항진균) 등 작용이 있다. 水浸劑(수침제) 혹 乙醇浸劑(을순침
제)는 돼지회충(猪蛔虫)에 대하여 麻痹作用(마비작용)이 있다. 水浸劑(수침제)
는 약간의 皮膚眞菌(피부진균)에 대하여 抑制作用(억제작용)이 있다.
功能 : 殺虫消積(살충소적)
主治 : 蛔虫(회충), 蟯虫病(요충병), 虫積腹痛(충적복통), 小兒疳積(소아감적).
臨床 : 1) 殺虫消積(살충소적) ; 蛔虫(회충), 蟯虫(요충), 虫積腹痛(충적복통)
⑴ 輕證 : ① 單種(단종) 炒香嚼服(초향작복) - 殺虫(살충)
⑵ 重證 ① 蛔虫(회충) : 加 苦楝皮(고련피),芫荑(원이),檳榔(빈랑).
≒ 使君子散(사군자산)
② 蟯虫(요충) : 加 百部(백부), 烏梅(오매)
2) 小兒疳積(소아감적) : 驅虫(구충), 消積滯(소적체), 扶脾胃(부비위)
⑴ 小兒疳疾(소아감질) - 面色萎黃(면색위황), 形瘦腹大(형수복대), 腹痛有虫
(복통유충)
① 加 黃連(황련), 蘆薈(로회), 胡黃連(호황련), 三仙(삼선, 山楂 神曲 麥芽)
≒ 肥兒丸(비아환)
用法 : 使君子(사군자) 搗碎(도쇄) 入煎劑(입전제), 其仁單用(기인단용).
注意. : 1) 空腹服用(공복복용) 每日(매일) 1次 3일간
2) 單種(단종)을 炒熱(초열)하여 大量服用(대량복용)하면 呃逆(애역), 頭暈(두
훈), 嘔吐(구토)가 發生(발생)한다. 小兒(소아)는 하루 20개 이하를 사용해야
한다. 熱茶(열차)와 함께 服用(복용)해도 역시 呃逆(애역)을 일으킨다. 일반적
으로 복용을정지하면 곧 회복되는데 필요시에는 對應葯(대응약)을 사용할 수
있다.
3) 肝病患者(간병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4) 服葯時(복약시) 忌飮濃茶(기음농차).
사기오미 (四氣五味)
葯物(약물)은 모두 일정한 性(성)과 味(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이 곳 葯物性能(약물성
능)이다. 고대로부터 어떠한 葯物(약물)을 論述(논술)할 때마다 性味(성미)를 重視(중
시)하는 것은 각종 약물의 共通性(공통성)과 個別性(개별성)을 認識(인식)함으로써
臨床(림상)에서 應用(응용)하는데 實際的(실제적) 意義(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이 같
은 葯性(약성)은 實際的(실제적) 臨床效果(임상효과)에 根據(근거) 하여 反復的(반복
적)으로 驗證(험증)한 후 歸納(귀납)한 多角的(다각적) 治療作用(치료작용)을 高度(고
도)로 槪括(개괄)한 것이다.
1. 四氣(사기)
1) 葯物(약물)에는 寒熱溫凉(한열온량)의 네 가지 葯性(약성)이 있는데 이를 四性(사성) 또는
四氣(사기)라 부른다. 溫熱(온열)과 寒凉(한량)은 두 가지 部類(부류)의 不同(부동)한 性質
(성질)인 동시에 溫(온)과 熱(열) 그리고 寒(한)과 凉(량) 역시 分別(분별)하되 서로 共同性
(공동성)을 지닌 것으로써 溫(온)은 熱(열)보다 差(차, 相異)하고, 凉(량)은 寒(한)보다 差
(차, 相異)한 것이다. 이같이 公同(공동)한 性質(성질)가운데 또 다른 程度上(정도상)의 差
(차, 相異)가 있는 것을말한다. 이와 같이 즉 葯效(약효)의 强弱(강약)과 作用(작용)의 緩慢
(완만)이 不同(부동)한 個別性(개별성)을 지니고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2) 또한 大熱(대열), 大寒(대한), 微溫(미온), 微寒(미한)으로 細分(세분)하여 葯效(약효)의 强
弱(강약)을 區別(구별)하였다. 이 같은 結果(결과)는 葯物(약물)이 人体(인체)에 작용하여
發生(발생)되는 反應(반응)을 槪括(개괄)함으로써 얻은 것이다.
3) 熱證(열증)을 能(능)히 輕减(경감)하거나 除去(제거)하는 葯物(약물)은 일반적으로 寒性
(한성)또는 凉性(량성)에 속하는데 예를 들면 黃芩(황금), 板藍根(판람근)은 發熱(발열), 口
渴(구갈), 咽痛(인통) 등 熱證(열증)에 대하여 淸熱解毒(청열해독)하는 작용이 있음으로써
이같은 두 가지 葯物(약물)은 寒性(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表明(표명)하게 된 것이다.
반대로 寒證(한증)을 能(능)히 輕减(경감)하거나 除去(제거)하는 葯物(약물)은 일반적으로
溫性(온성) 또는 熱性(열성)에 속하는데 예를 들면 附子(부자), 乾姜(건강)은 腹中冷痛(복
중냉통), 脈沉无力(맥침무력) 등 寒證(한증)에 대하여 溫中散寒(온중산한)하는 작용이 있
음으로써 이 같은 두 가지 葯物(약물)은 熱性(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表明(표명)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汗蒸治療(한증치료)에는 熱葯(열약)으로, 熱證治療(열증치료)에는
寒葯(한약)으로 사용한다. 《素問․至眞要大論》에 이르기를 “寒者熱之(한자열지) 熱者寒之
(열자한지)”라 하였다.
4) 總括(총괄)하여 四氣(사기)는 陰陽(음양)에 입각한 分類体系(분류체계)로 人体(인체)에
미치는 生理的(생리적) 活性度(활성도)를 大別(대별)하여 네 가지로 표현한 것이다. 즉 溫
熱(온열)의 葯物(약물)은 陽性(양성)을 띠며, 寒凉(한량)의 葯物(약물)은 陰性(음성)을 나
타내고 있다. 熱性(열성)과 寒性葯物(한성약물)은 그 작용이 비교적 강하고, 溫性(온성)과
凉性葯物(량성약물)은그 작용이 비교적 緩和(완화)하여 徐徐(서서)히 治愈(치유)되는 效
果(효과)를 얻게 된다.
熱性葯物(열성약물) : 夏氣(하기)에 相應(상응)되는 葯物(약물)로써 夏氣(하기)는 生長力
(생장력)이 旺盛(왕성)하고 繁榮(번영)하며 暢達(창달)을 위주로 하
므로 發熱(발열), 興奮(흥분), 發汗(발한), 刺戟作用(자극작용)을 강력하게 나타내는 葯物
(약물)을 말한다.
溫性葯物(온성약물) : 春氣(춘기)에 相應(상응)되는 葯物(약물)로써 春氣(춘기)는 萬物(만
물)이 蘇生(소생)하는 氣運(기운)을 받아 發育(발육)을 위주로 하므
로 緩和(완화), 强壯(강장), 升提(승제), 補陽(보양), 開胃(개위), 通經絡(통경락), 止瀉(지
사), 散寒(산한), 体溫上升(체온상승), 暖丹田(난단전), 祛痰(거담), 安神(안신), 理氣(리기),
益氣(익기), 行血(행혈), 止汗作用(지한작용)을 나타난다.
寒性葯物(한성약물) : 冬氣(동기)에 相應(상응)되는 葯物(약물)로써 冬氣(동기)는 萬物(만
물)이 沈藏(침장)하는 氣運(기운)을 받아 殺伐(살벌)을 爲主(위주)로 하므
로 解熱(해열), 消炎(소염), 鎭靜(진정), 降火(강화), 止血(지혈), 瀉下作用(사하작용)을 한
다.
凉性葯物(량성약물) : 秋氣(추기)에 相應(상응)되는 葯物(약물)로써 秋氣(추기)는 萬物(만
물)이 收斂(수렴)하는 氣運(기운)을 받아 肅淸(숙청)을 爲主(위주)로
하며 寒性(한성)보다 그 作用(작용)이 微弱(미약)하여 補陰(보음), 止血(지혈), 降火(강화)
를 위주로 하므로 淸熱作用(청열작용)으로 潮熱(조열), 肌熱(기열), 煩熱(번열)에 많이 活
用(활용)한다.
2. 五味(오미)
1) 酸(산), 苦(고), 甘(감), 辛(신), 鹹(함)의 다섯 가지 맛이 五味(오미)이다. 그러나 어떤 葯
物(약물)은 淡味(담미), 澁味(삽미)를 가지고 있어 實在(실재)로 五味(오미)만이 아니지
만 五味(오미)를 基本(기본)으로 하고 있다.
☆ 2) 不同(부동)한 味(미)는 不同(부동)한 作用(작용)이 있고 味(미)가 相同(상동)한 葯物(약
물)은 그 作用(작용)도 近似(근사)하거나 共同(공동)한 점이 있다.
酸味(산미) : 收斂(수렴), 固澀作用(고삽작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酸味(산미)를 가지고
있는 葯物(약물)은 虛汗(허한), 泄瀉(설사) 등을 治療(치료)한다. 예로 山茱
萸(산수유), 五味子(오미자)는 澁精斂汗(삽정렴한)하며, 五倍子(오배자)는
澁腸止瀉(삽장지사)하는 작용이 있다.
⑴ 能收(능수) : 收虛汗外泄(수허한외설) - 山茱萸(산수유)
⑵ 能澀(능삽) : 固腸止痢(고장지리) - 泄瀉不止(설사불지), 遺精(유정), 帶下
(대하) - 五味子(오미자), 訶子(가자)
苦味(고미) : 泄(설)하며 燥(조)하는 作用(작용)이 있다.
泄(설) : 含意(함의)는 廣範圍(광범위)한데 熱結便秘(열결변비)에 適用(적
용)되는 大黃(대황)의 通瀉作用(통사작용), 肺氣上逆(폐기상역)하
여 喘咳(천해)에 適用(적용)되는 杏仁(행인)의 降泄作用(강설작용), 熱盛
心煩(열성심번) 等症(등증)에 適用(적용)되는 梔子(치자)의 泄作用(설작
용) 등을 가리킨다.
能泄(능설) :
⑴ 通泄(통설): 瀉熱通便(사열통변)-大黃(대황): 熱結便秘(열결변비)
⑵ 降泄(강설) : 肺氣上逆(폐기상역) 咳嗽(해수) - 杏仁(행인)
⑶ 淸泄(청설) : 淸熱瀉火(청열사화) - 黃連(황연)
燥(조) : 濕證(습증)에 사용된다. 濕證(습증)에는 寒濕(한습), 濕熱(습열)이
있는 데 蒼朮(창출)은 溫性苦味(온성고미)하여 寒濕(한습)에 適用
(적용)되며, 黃連(황연)은 寒性苦味(한성고미)하여 濕熱(습열)에 適用(적
용)됨과 같다. 古人(고인)들의 經驗(경험)에 의하면 苦味(고미)는 堅陰作
用(견음작용)이 있다고 하여 黃柏(황백), 知母(지모)같은 葯物(약물)은 腎
陰虧虛(신음휴허)하여 相火(상화)가 亢盛(항성)한 痿證(위증)에 사용해서
瀉火存陰(사화존음)의 意義(의의)를 가지고 있다.
能燥(능조) - 燥濕(조습)
⑴ 寒濕(한습) - 蒼朮(창출)
⑵ 熱濕(열습) - 黃柏(황백), 龍膽草(용담초)
能堅(능견) - 堅陰(견음) : 陰虛火盛證(음허화성증) - (腎陰虛(신음허))
- 黃柏(황백), 知母(지모)
甘味(감미) : 補益(보익), 和中(화중), 緩急(완급) 등 作用(작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虛
證(허증) 을 치료하는 滋補强壯葯(자보강장약)인 當歸(당귀), 熟地(숙지)
같은 葯(약)과 拘急疼痛(구급동통)을 緩和(완화)하게 하며 葯性(약성)을
調和(조화)하는 甘草(감초), 飴糖(이당) 같은 葯(약)은 모두 甘味(감미)가
있다. 甘味葯(감미약)은 대부분 質(질)이 潤(윤)하므로 乾燥(건조)한 것을
能(능)히 滋潤(자윤)한다.
⑴ 能補(능보) : 補虛(보허) - 補益(보익) : 黨參(당삼), 當歸(당귀), 熟地(숙지)
⑵ 能緩(능완) : 緩急(완급) 拘攣(구련) - 緩急(완급) : 飴糖(이당)
⑶ 能和(능화) : 調和(조화) - 和中(화중) : 甘草(감초), 大棗(대조)
辛味(신미) : 發散(발산), 行氣(행기), 行血作用(행혈작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表證(표
증)을 治療(치료)하는 麻黃(마황), 薄荷(박하)같은 것과 氣血阻滯(기혈조
체)를 治療(치료)하는 木香(목향), 紅花(홍화)같은 葯物(약물)은 모두 辛味
(신미)이다.
⑴ 能散(능산) : 發散(발산) - 解表(해표) : 麻黃(마황), 桂枝(계지)
⑵ 能行(능행) : 行氣(행기) - 行氣止痛(행기지통) : 香附子(향부자), 瀉葯(사
약). 行血(행혈)- 活血化瘀(활혈화어) : 桃仁(도인), 紅花(홍화)
鹹味(함미) : 軟堅散結(연견산결), 瀉下作用(사하작용)이 있다. 瘰癧(라력), 癭瘤(영류),
痰核痞塊(담핵비괴) 및 熱結便秘(열결변비) 등 증에 많이 사용된다. 瓦楞
子(와릉자)는 軟堅散結(연견산결) 作用(작용)을 하며, 芒硝(망초)가 瀉下
通便(사하통변) 작용을 하는 것과 같다.
⑴ 能下(능하) : 瀉下(사하) - 玄明粉(현명분), 朴硝(박초)
⑵ 能軟(능연) : 軟堅散結(연견산결),癭瘤(영류),痰核(담핵),瘰癧(라력) - 牡蠣
(모려)
淡味(담미) : 滲濕(삼습) 利尿作用(이뇨작용)이 있다. 水腫(수종) 小便不利(소변불리)
等症(등증)의 치료에 사용된다. 茯苓(복령), 猪苓(저령) 같은 葯物(약물)은
利尿作用(이뇨작용)을 하는 것과 같다.
⑴ 能滲(능삼) : 滲濕(삼습) - 茯苓(복령), 猪苓(저령), 通草(통초)
⑵ 能利(능이) : 利尿(이뇨) - 猪苓(저령), 通草(통초)
⑶ 五味(오미)의 작용을 陰陽(음양)으로 歸納(귀납)하는데
① 辛(신), 甘(감), 淡味(담미)는 陽(양)에 속하고,
② 酸(산), 苦(고), 鹹味(함미)는 陰(음)에 속한다.
⑷ 五味(오미)는 臟腑(장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臨床(림상)에서 五味(오
미)의 偏盛(편성) 을 이용하여 臟腑之間(장부지간)의 偏盛偏衰(편성편
쇠)를 調節(조절)하는데 예를 들면
① 辛味(신미)는 肺氣之鬱(폐기지울)을 散行(산행)시키고
② 甘味(감미)는 脾胃之虛(비위지허)를 補(보)하며
③ 入肝(입간)하는 葯(약)은 醋炒(초초)하고
④ 入腎(입신)하는 葯(약)은 鹽水炒(염수초) 한다.
五味(오미)가 五臟(오장)에 들어간다는 것을 具體的(구체적)으로 運用(운용)하고있다.
《內經》에 이르기를 酸入肝(산입간), 苦入心(고입심), 甘入脾(감입비), 辛入肺(신입폐),
鹹入腎(함입신)라고 하였다.
3. 氣味(기미)
1) 各種(각종)의 葯(약)은 각기 性(성)과 味(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兩者(양자)를 반
드시 綜合(종합)하여 보아야 한다. 예를 들면 같은 溫性(온성)에도 生姜(생강)은 辛
溫(신온)하고 厚朴(후박)은 苦溫(고온)하며 黃芪(황기)는 甘溫(감온)하고 薄荷(박
하)는 辛凉(신량)하며 乾姜(건강)은 辛溫(신온)하며 附子(부자)는 辛熱(신열)하다.
2) 大多數(대다수)의 葯(약)은 한 개의 氣(기)에 여러 가지의 맛(數味)를 가지고 있다.
桂枝(계지)는 辛(신), 甘(감) 하고 溫(온)하며, 生地(생지)는 苦甘(고감)하고 寒(한)한
등이다.
이상과 같이 복잡한 情况(정황)은 葯物(약물)이 여러 가지 作用(작용)을 가지고 있
는 것과 葯物(약물) 간에 性能(성능)이 相同(상동)한 가운데 또 不同(부동)한 特点
(특점)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직 매개 葯物(약물)의 전
체 性能(성능)을 認識(인식)하고 掌握(장악)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같은 類(류)의
葯(약) 가운데도 다른 特性(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만이 비로써 全面的(전면
적)이고도 正確(정확)하게 葯物(약물)을 了解(료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