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 (百勞) : 기혈(寄穴) - 항배요부(項背腰部)
定位 : 대추혈(大椎穴)위 2寸에서 좌우 1寸.
主治 : 연주창(連珠瘡)(림프절결절 scrofula), 해수(咳嗽), 해혈(咳血), 백일해 (百日
咳), 학질(瘧疾), 경항근경련(頸項筋痙攣) 혹은 불친 증상.
操作 : 0.3~0.6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백충와 (百蟲窩) : 기혈(寄穴) - 사지부(四肢部)
定位 : 슬개골(膝蓋骨) 내상각(內上角) 위 3寸, 혈해혈(血海穴) 위 1寸.
效能 : 양혈거풍(養血祛風), 청열이습(淸熱利濕).
主治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담마진(蕁麻疹)(風疹-두드러기), 하지부스럼
(옹저(癰疽)), 회충(蛔虫)
操作 : 1~1.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백호 (魄戶)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42 定位 : 제 3 흉추극돌(胸椎棘突)아래. 좌우 3寸, 견갑골(肩胛骨) 척추연(脊椎緣).
主治 : 폐결핵(肺結核), 해수(咳嗽), 기천(氣喘), 기관지염(氣管支炎), 흉막염 (胸膜
炎), 경강(頸强), 견배통(肩背痛).
臨床 : ① 해수(咳嗽), 천식(喘息) -
加 폐수(肺兪), 중부(中府), 전중(顫中), 척택(尺澤).
② 폐결핵(肺結核) - 加 고황(膏肓).
操作 : 0.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백환수 (白環兪)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30 定位 : 제 4 저추극돌(骶椎棘突)아래, 좌우 1.5寸.
主治 : 백대(白帶), 월경이상(月經異常), 산기(疝氣), 유정(遺精), 자궁 내막염
(子宮內膜炎), 항문질환(肛門疾患), 요천부통(腰薦部痛), 요고통(腰股
痛),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소아마비후유증(小兒 麻痹后遺症), 항문
(肛門) 근육경련(筋肉痙攣), 소변불리(小便不 利)(배뇨장애(排尿障碍)).
자궁경부암(子宮經部癌)의 배합혈(配合穴).
臨床 : ① 유정(遺精),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대하(帶下) - 加 신유
(腎兪), 관원(關元), 중극(中極), 삼음교(三陰交),
② 요배통(腰背痛) - 加 위중(委中),
③ 여자내성기(女子內性器) 만성염증(慢性炎症) - 加 자궁(子 宮), 혈해
(血海), 삼음교(三陰交),
④ 탈항(脫肛) - 加 장강(長强), 승산(承山)을 각각 배용한다.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백회 (百會) : 독맥(督脈)
GV-20 【甲乙】에 독맥(督脈) 족태양(足太陽)의 會
【聚英】에 수족(手足)의 삼양(三陽) 독맥(督脈)의 會, 수족소양(手足少
陽) 족궐음(足厥陰)의 會.
定位 : 후두(后頭) 발제(髮際) 위 7寸. 두정중선(頭正中線)과 양이첨(兩耳尖) 련결
선(連結線)의 교점(交點).
效能 : 평간식풍(平肝息風), 성뇌영신(醒腦寧神), 청열개규(淸熱開竅), 승양익기
(升陽益氣)
主治 : 고열(高熱), 운궐(暈厥), 제풍도현(諸風掉眩) 개속우간(皆屬于肝), 중 풍폐증
(中風閉證), 중풍실면(中風失眠), 반신불수(半身不遂), 정신병 (精神病), 간
질병(癎疾病), 히스테리, 경련(痙攣), 소아급만경풍(小兒 急慢驚風), 전광(癲
狂), 간질(癎疾), 계종(瘈瘲), 심계(心悸), 건망증 (健忘症), 이명(耳鳴), 이농
(耳聾), 비염(鼻炎), 비색(鼻塞), 뉵혈(衄 血), 탈항(脫肛), 치질(痔疾), 음정(陰
挺), 설사(泄瀉).
現代 : 고저혈압(高低血壓), 휴극(休克), 뇌출혈(腦出血), 뇌빈혈(腦貧 血), 울
증(鬱症), 무도병(舞跳病), 자궁탈수(子宮脫垂)(陰挺), 신경성두통(神
臨床 : ① 고열(高熱) - 加 풍지(風池), 대추(大椎), 곡지(曲池),
② 안병(眼病) - 加 풍지(風池), 태양(太陽), 합곡(合谷), 정명(睛明),
③ 비병(鼻病) - 加 풍지(風池), 영향(迎香), 합곡(合谷),
④ 훈궐(暈厥) - 加 수구(水泃), 내관(內關),
⑤ 중풍폐증(中風閉證) - 加 용천(湧泉), 풍륭(豊隆), 풍지(風池),
⑥ 탈항(脫肛) - 加
㉠ 장강(長强), 승산(承山),
㉡ 구미(鳩尾), 장강(長强),
⑦ 류행성(流行性) B型(日本) 뇌염(腦炎) -加 풍부(風府), 대추(大椎), 곡지
(曲池),
⑧ 휴극(休克) - 加 내관(內關) 인중(人中).
⑨ 두통(頭痛) - 加 인당(印堂), 태양(太陽), 합곡(合谷),
⑩ 자궁탈수(子宮脫垂) - 加 기해(氣海), 유포(維胞), 족삼리(足三里),
操作 : 침첨(針尖)을 전후(前後) 혹은 좌우로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 灸).
소아의 경우 신문(囟門)이 아직 막히지 않았거나 뇌적수(腦積 水, 뇌수종(腦
水腫)) 환자는 침자(針刺)시 신중(愼重)해야 한다.
별락 (別絡)
개념(槪念) : 십이경맥(十二經脈)은 사지(四肢)에서 각각 하나의 락(絡)이 갈라져 나 오고
구간(軀干)의 임맥락(任脈絡)(身体前面), 독맥락(督脈絡)(身体后面) 및 비(脾)
의 대락(大絡)(身体側面)등을 모두 합하여 인체에는 십오락맥 (十五絡脈)있
는데 이를 가리켜서 별락(別絡)이라고 하는 것이다.
사지(四肢)의 15 락맥(絡脈)은 주로 표리(表里) 양경(兩經)을 구통(泃 通)시키
며 또 순행하는 노선에서 경맥순행이 부족한 것을 보충시키고 몸통(軀干部
位)의 전후(前後)와 좌우양측에 분포된 락맥(絡脈) 즉 삼락 (三絡, 任脈, 督脈,
脾大絡)은 기혈(氣血)을 삼투(滲透) 및 관개(灌漑)시키 는 작용이 있다.
또한 락맥(絡脈)과 경별(經別)은 모두 표리(表里) 두 경(經) 사이의 관 계를 가
강(加强) 시키는 작용을 한다.
不同한 점은
경별(經別)은 內를 주재하고 소속된 穴이 없고 또 소유된 병증이 없다. 락맥
(絡脈)은 外를 주재(主宰)하며 각각 하나의 락혈(絡穴)이 있고 따 라서 소유된
병증(病症)이 있다.
手太陰肺經 別絡 : 열결(列缺)
循行 : 팔목관절 상방(上方)에 요골경돌(橈骨莖突) 위에 오목한 함요부 (陷凹
部), 팔목 횡문(橫紋) 위 1.5寸이다. 수양명경맥(手陽明經脈) 으로 향하
여 수태양경맥(手太陽經脈)과 함께 손바닥으로 향하여 나오다가 중간
에서 대어제(大魚際) 부위에 산포(散布)된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손바닥 발목에 열(熱)이 난다.
② 허증(虛證) : 하품하며 소변이 잦거나 실금(失禁)된다.
手少陰心經 別絡 : 통리(通里)
循行 : 팔목 위 1寸에서 갈라져서 상행(上行)된다. 본경(本經)을 따라 심 장(心
臟) 속으로 들어가서 위로 향하여 혀뿌리(舌根)에 연계되며 눈(目)에
속하여 뇌(腦)에 연계된다. 수태양소장경맥(手太陽小腸 經脈)으로 간
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심통(心痛)
: ② 허증(虛證) : 두렵고, 우울함
手厥陰膈經 別絡 : 내관(內關) - (옛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循行 : 팔목위 2寸, 두 힘줄사이에서 상행(上行)하며 안으로는 격(膈)과 포막
(包膜)에 산포(散布)되며 분지(分枝)는 수소양경맥(手少陽經 脈)으로
향한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흉격부위(胸膈部位)가 창만(脹滿)하다.
② 허증(虛證) :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럽고, 말 못함(失語, 不語).
手太陽小腸經 別絡 : 지정(支正)
循行 : 팔목 관절 위 5寸 이며 내측으로 향하여 수소음심경(手少陰心 經)에
주입되고 그 지맥(支脈)은 위로 팔 굽을 지나서 견우혈 (肩髃穴) 부
위에 락(絡)한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관절이완(關節弛緩), 팔굽이 위축(萎縮)되어 팔 을 쓰
지 못함
② 허증(虛證) : 사마귀(扁平疣)
手陽明大腸經 別絡 : 편력(偏歷)
循行 : 팔목 관절 위 3寸이며,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으로 향하여 가 고
그 분지(分枝)는 위로 팔을 따라 견우혈(肩髃穴) 부위를 지 나서 하
합각(下頜角)에 이르러 치근(齒根)에 산포(散布)되며 그 지맥(支脈)
은 귓속에 들어가서 귀와 눈에 모인 많은 경맥 (經脈)과 회합한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치통(齒痛), 이농(耳聾)
② 허증(虛證) : 치아산통(齒牙酸痛)
手少陽三焦經 別絡 : 외관(外關)
循行 : 팔목 위 2寸에서 갈라져서 팔목 외측을 향하여 가슴속에 진입 되여
격(膈)에 회합된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팔굽 경련(痙攣)
② 허증(虛證) : 팔굽 굴신불리(屈伸不利)
足太陽膀胱經 別絡 : 비양(飛揚)
循行 : 외측 복사뼈(外踝) 위 7寸에서 갈라져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으로
간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맑은 콧물을 흘리며 비색(鼻塞), 두통(頭痛), 배통(背
痛).
② 허증(虛證) : 뉵혈(衄血), 콧물 흘리는 증상.
足少陽膵經 別絡 : 광명(光明)
循行 : 외측 복사뼈(外踝) 위 5寸에서 갈라져 나와 족궐음간경(足厥陰肝 經)
으로 가며, 아래로 발등에 연락된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족궐냉증(足厥冷症)
② 허증(虛證) : 하지마비(下肢麻痹), 하지무력(下肢无力), 보행불리 (步
行不利), 앉은 후에 기립불능(起立不能)
足陽明胃經 別絡 : 풍륭(豊隆)
循行 : 외측 복사뼈(外踝) 위 8寸에서 갈라져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에 가
며 그 지맥(支脈)은 경골(脛骨) 외측을 따라 위로 향하여 머리 와 목(大
椎穴)에 연락되고 각경의 맥기(脈氣)와 서로 회합(會合) 하여 아래로
목구멍과 인협(咽頰) 부위에 연락(連絡)된다.
病候 :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갑자기 말 못하는 증상.
① 실증(實證) : 우울증(憂鬱症), 발광증(發狂症)
② 허증(虛證) : 족(足) 소퇴무력(小腿无力), 소퇴(小腿) 근육위축 (筋肉
萎縮).
足太陰脾經 別絡 : 공손(公孫)
循行 : 엄지발가락 제 1 지척관절(趾跖關節) 위에 1寸에서 갈라져 족양 명위
경(足陽明胃經)으로 가며 그 지맥(支脈)은 뱃속으로 들어가 위(胃)와
장(腸)에 연계된다.
病候 : 기궐역(氣厥逆), 토사(吐瀉)
① 실증(實證) : 복부의 격열(激烈)한 통증(痛症)
② 허증(虛證) : 복부창만(腹部脹滿)
足少陰腎經 別絡 : 대종(大鍾)
循行 : 내측(內側) 복사뼈 위 발뒤축을 지나서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 經)
으로 가며 그 지맥(支脈)은 본경(本經)과 함께 위로 올라와서 심장(心
臟)아래에 이르며 외행(外行)은 허리의 척주(脊柱)를 통 과(通過)한다.
病候 : 맥기(脈氣)가 궐역(厥逆)되어서 마음이 번민(煩悶)하는 증상
① 실증(實證)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② 허증(虛證) : 허리통증
足厥陰肝經 別絡 : 려구(蠡泃)
循行 : 內側 복사뼈 위 5寸에서 갈라져 나와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으 로 가
며 그 분지(分枝)는 경골(脛骨)을 지나서 고환(睾丸)에 올 라와서 음경
부(陰莖部)에서 끝난다.
病候 : 기(氣)가 역(逆)하면 고환(睾丸)이 붓고 팽창(膨脹)하며 돌연(突 然)히
산기(疝氣)가 생긴다.
① 실증(實證) : 양강불도(陽强不倒)
② 허증(虛證) : 음부소양증(陰部搔痒症)
任脈 別絡 : 구미(鳩尾)
循行 : 검돌(劍突) 아래에 있으며 복부(腹部)에 퍼진다.
病候 : ① 복부(腹部)에 피부통증(皮膚痛症)
② 소양증(瘙痒症)
督脈 別絡 : 장강(長强)
循行 : 척주(脊柱)를 끼고 목에 이르러 머리에 퍼지며, 아래로 견갑(肩胛) 좌우 로 갈
라져 내려와서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으로 들어가며 깊이 척주(脊柱)
를 꿰뚫어 들어간다.
病候 : ① 실증(實證) : 척주(脊柱), 등어리 경련.
② 허증(虛證) : 머리가 무겁고 흔들리는(頭重頭暈) 증상
脾 大絡 : 대포(大包)
循行 : 겨드랑이 아래 6寸에서 나와 가슴과 옆구리에 퍼진다.
病候 : ① 전신통증(全身痛症)
② 전신(全身) 관절무력(關節无力)
소결(小結)
락맥(絡脈)은 경맥(經脈)의 분지(分支)이며 대다수가 사지(四肢)의 주슬(肘膝)이하의 본경
(本經)에서 갈라져 나와 12 경맥(經脈)의 표리(表里) 관계를 형성하였다. 락맥(絡脈)은 다
수가 체표(体表)에서 15 갈래로 분포되었는데 그것은 십이경(十二經)에 각 하나와 독맥
(督脈), 임맥(任脈)과 비(脾)의 대락(大絡)을 모두 합하여 15 갈래의 대락맥으로 된 것이
다. 이외에 각개 락맥(絡脈)은 또 무수한 가늘고 작은 가지가 갈라져 나오는데 이를 “손락
(孫絡)”이라 부르며 그중 피부표면 에 보이는 것을 “부락(浮絡)”이라 부른다.
락맥(絡脈), 부락(浮絡), 손락(孫絡)은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에 이르기까지 마치 그물처
럼 전신에 펴졌다. 경맥과 락맥은 분 포상 깊이가 부동(不同)한데 경맥(經脈)은 마치 강과
냇물의 주간(主幹) 같고, 락맥 (絡脈)은 마치 가지가 서로 교차된 것 같아 12 경맥(經脈)이
종횡(縱橫)으로 잘 연 계(聯系)되어 정체(整体)의 순환체계(循環体系)를 형성하였다.
락맥(絡脈)의 체표(体表)에 순행분포는 일정한 규율이 있다. 즉 십이경(十二經)의 락맥(絡
脈)은 모두 사지(四肢)의 락혈(絡穴)에서 분출(噴出)되었고, 음경(陰經) 락맥(絡 脈)은 상호
표리인 양경(陽經)으로 가며, 양경 락맥은 상호 표리인 음경으로 간다.
임맥(任脈)과 독맥(督脈), 비(脾)의 대락(大絡)은 구간(軀干)에 분포 되였으며 그들은 본경
(本經)의 락혈(絡穴)에서 분출(噴出)된 후 임맥(任脈)의 락은 하행하여 복부에 흩어지고
(散布), 독맥(督脈)의 락은 상행하여 허리와 등 어리, 머리에 산포되며, 비 (脾)의 대락(大
絡)은 가슴과 옆구리에 산포된다. 이렇게 십이경(十二經) 락맥(絡脈) 은 십이경맥의 기혈
(氣血) 운행을 보좌(補佐)하며 음양표리(陰陽表里) 한 쌍의 배우 (配偶) 관계를 형성하고
임(任), 독(督), 비(脾)의 대락(大絡)은 구간(軀干)의 전후좌 우의 연계를 가강(加强)한다. 따
라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락(浮絡), 손락(孫絡)은 기혈(氣血)을 인체의 각 조직기관에
주입(注入)하고 전신을 연락하며, 삼투(滲透), 관개(灌漑), 자양(滋養) 등의 작용을 한다.
락맥(絡脈)은 병리변화(病理變化) 과정중 중요한 작용을 일으키는데 외사(外邪)가 유기
체(有機体)에 침습되면 병사(病邪, 邪氣)는 일반적으로 먼저 락맥(絡脈)에 침습 한 후에 경
맥(經脈)으로 발전한다. 즉 표(表)로부터 리(里)로 전변(傳變)된다. 반면에 인체의 기혈(氣
血)에 병태(病態)가 생기면 병의 초기(初起)에는 경(經)에 사기(邪氣) 가 머물다가 후에 발
전하면 락(絡)에 이르게 된다.
락맥(絡脈)은 진단(診斷)에 대해서도 일정한 의의를 제공한다.
즉 ① 락맥(絡脈)의 진찰을 통해서 병체의 한열허실(寒熱虛實)을 관찰할 수 있다.
② 어제부(魚際部)에 락맥(絡脈)의 형색(形色) 진찰로써 전신질병(全身疾病)의 한열
(寒熱) 속성을 진단할 수 있다.
③ 한증(寒證) 질병에 기혈(氣血)이 불통하면 락맥에 빗치는 색이 어둡고 피가 몰려
(어혈) 있으며
④ 허증(虛證) 질병에 기혈(氣血)이 부족하면 락맥의 색이 연(軟)하다.
⑤ 임상(臨床)에서 실증(實證) 환자는 삼릉침으로 좌측병은 우측의 락맥을, 우측 병은
좌측의 락맥을 찔러 질병을 치료한다.
⑥ 허증(虛證) 患者는 뜸뜨는 방법을 사용하며 또 락맥과 상호 표리인 경맥에 원락배
혈법(原絡配穴法)을 사용한다.
Opmerk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