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맥 (帶脈)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26 【素問 氣府論】에 족소양(足少陽) 대맥(帶脈)의 會
定位 : 장문혈(章門穴)아래와 배꼽 중선(腋中線)과 만나는 점. 즉 제중(臍 中)에서
가로로 직선을 긋고, 제 11 늑골 말단에서 세로로 직선을 그어 만나는 교차
점(交叉點)이 된다.
效能 : 조경지대(調經止帶), 소경활락(疏經活絡), 청열이습(淸熱利濕). - 조영혈(調
營血), 자간신(滋肝腎), 리하초(理下焦).
主治 : 월경이상(月經異常), 적백대하(赤白帶下), 음정(陰挺), 산기(疝氣), 허 리(虛
痢), 협통(脇痛), 경폐복통(經閉腹痛), 복고구사산(腹股溝斜疝), 대하과다
(帶下過多)(白帶).
現代 : 자궁탈수(子宮脫垂, 陰挺), 골반강염(骨盤腔炎, 盆腔炎), 자궁 내막염
(子宮內膜炎), 방광염(膀胱炎), 외상성(外傷性) 척수손 상(脊髓損傷),
외상성(外傷性) 마비(痲痹), 복부비만(腹部肥 滿). 간암(肝癌), 자궁경부암
(子宮經部癌)의 배합혈(配合穴).
臨床 : ① 백대(白帶), 대하과다(帶下過多): 加 백환유(白環兪) 음능천(陰陵 泉) 삼
음교(三陰交).
② 통경(痛經) 폐경(肺經): 加 중극(中極) 지기(地機) 삼음교(三陰交)
③ 소복견통(小腹堅痛) 월경불통(月經不痛) : 加 후계(后溪).
④ 척수손상(脊髓損傷) : 加 신척(腎脊) 환도(環跳) 도약(跳躍) 사강 (四强),
⑤ 월경이상(月經異常) : 加 혈해(血海).
⑥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 加 중극투곡천(中極透曲泉), 지기(地 機), 삼음
교(三陰交).
⑦ 복부비만(腹部肥滿) : 加 천추(天樞), 중극(中極), 관원(關元), 중 완(中脘).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대병첨 (對屛尖) : 耳穴
定位 : 대이병(對耳屛)의 볼록한 끝에 있다.
主治 : 천식(喘息), 이하선염(耳下腺炎), 피부소양증(皮膚瘙痒證), 고환염(睾丸
炎), 부고환염(副睾丸炎)
대산 (大蒜) : 독두산(獨頭蒜)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마늘로써 간접구(間接灸)를 뜰 때 사용하는
재료다. 이를 가리켜서 격산구(隔蒜灸)라 칭한다.
대영 (大迎)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5 定位 : 하합골(下頜骨)앞 교기(咬肌)가 부착(附着)된 앞면, 입을 다물고 볼 을 불구
면 뺨의 오목한 함요부(陷凹部)가 생기는데 그 끝에서 取한 다.
主治 :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 아관긴폐(牙關緊閉), 협종(頰腫), 치통 (齒痛),
안면경련(顔面痙攣), 연주창(連珠瘡), 이하선염(耳下腺炎). 항부비만(項部
肥滿)(턱과 목 비만)
臨床 : ① 아관긴폐(牙關緊閉) : 加 하관(下關).
②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痺) : 加 협거(頰車).
③ 連珠瘡 : 加 臂臑.
④ 항부비만(項部肥滿) : 加 협거(頰車), 천정(天鼎) - 지압료법(指 壓療法).
操作 : 동맥(動脈)을 피하여 0.3~0.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대이륜부 (對耳輪部)의 수혈(腧穴)
1) 복(腹), 2) 흉(胸), 3) 경(頸), 4) 요저추(腰骶椎)(頸椎, 胸椎).
대이륜상각부 (對耳輪上脚部)의 수혈(輸穴)
1) 지(趾), 2) 근(跟), 3) 과(踝), 4) 슬(膝), 5) 관(髖).
대이륜하각부 (對耳輪下脚部)의 수혈(腧穴)
1) 하각단(下脚端), 2) 둔(臀).
대이병부 (對耳屛部)의 수혈(腧穴)
1) 대병첨(對屛尖), 2) 연중(緣中)(뇌점(腦点)), 3) 침(枕), 4) 섭(顳), 5) 뇌 (腦)(피질하
(皮質下).
대자 (對刺) : 침첨(針尖)을 마주 향하게 자입(刺入)시킨 것
대장 (大腸) : 이혈(耳穴)
定位 : 이갑정(耳甲艇) - 이륜각(耳輪脚) 전상방(前上方)
主治 : 장염(腸炎) 이질(痢疾) 복통(腹痛) 설사(泄瀉) 변비(便秘) 치질(痔疾) 장마비
(腸麻痹) 호흡계통(呼吸系統)의 질병(疾病).
대장수 (大腸兪)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 수혈(兪穴)(모혈(募穴)은 天樞)
BL-25 定位 : 제 4 요추극돌(腰椎棘突) 아래, 左右 1.5 寸.
效能 : 통리장부(通里腸府), 강장요슬(强壯腰膝). - 소조이장(疏調二腸), 리기화체(理氣化滯). 보법(補法) - 건고장부(健固腸腑). 사법(瀉法) - 통장도체(通腸道滯).
主治 : 복창(腹脹), 복통(腹痛), 장명(腸鳴), 설사(泄瀉), 변비(便秘), 장염(腸炎),
이질(痢疾), 요배통증(腰背痛症), 요부염좌(腰部捻挫), 천장관절통(薦
腸關節痛)., 복형담마진(腹型蕁麻疹), 요충병(蟯虫病), 습진(濕疹), 좌창
(痤瘡), 순염(脣炎), 구취(口臭), 구강궤양(口腔潰瘍), 피지일출(皮脂溢
出), 여음소양(女陰瘙痒), 여음궤양(女陰潰瘍).
現代 : 장명(腸鳴), 치질(痔疾), 장경조(腸梗阻), 월경통(月經痛), 유뇨
(遺尿), 저요관절염(骶腰關節炎), 장마비(腸麻痹), 장폐색(腸閉
塞), 장출혈(腸出血), 부척주근경련(附脊柱筋 痙攣), 요통(腰痛), 유뇨(遺
尿). 결장암(結腸癌)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 ① 변비(便秘) - 加 중완(中脘), 천추(天樞), 지구(支泃), 족삼리 (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조해(照海).
② 요퇴통(腰腿痛) - 加 신유(腎兪), 환도(環跳), 풍시(風市), 위 중(委中).
③ 소변실금(小便失禁) - 加 차료(次髎).
④ 유행성(流行性) 근위축증(筋萎縮症)(myotonic dystrophia) -
加 백환수(白環兪), 조구투승산(條口透承山), 명문(命門), 양능천투
음능천(陽陵泉透陰能泉).
⑤ 이질(痢疾) 복통(腹痛) - 加 소장수(小腸兪), 족삼리(足三里).
⑥ 대소변불금(大小便不禁) -(加 차료(次髎)를 배용(配用)한다.
操作 : 1~1.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대저 (大杼)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 팔회혈(八會穴)의 골회(骨會),
BL-11 【甲乙】에 족태양(足太陽), 수태양(手太陽)의 會,
【素問․氣血論】에 독맥별락(督脈別絡)과 수족태양(手
足太陽) 3 맥(脈)의 會,
【奇經八脈考】에 수족태양(手足太陽) 독맥(督脈) 소양
(少陽)의 會.
定位 : 제 1 흉추(胸椎) 극돌(棘突)아래 左右 1.5寸.
效能 : 소풍산사(疏風散邪), 소위선폐(疏衛宣肺) 보법(補法) - 장골보허(壯骨補虛).
사법(瀉法) - 소풍산사(疏風散邪), 소위선폐(疏衛宣肺).
主治 : 기침, 발열(發熱), 두통(頭痛), 인후염(咽喉炎), 견갑통(肩胛痛), 항강 (項强),
감모(感冒), 기관지염(氣管支炎), 폐염(肺炎), 흉막염(胸膜炎), 골결핵(骨結
核), 관절염(關節炎), 지체마목(肢體麻木), 견배비만(肩背 肥滿)., 절종(癤腫),
은설병(銀屑病), 담마진(蕁麻疹), 피염(皮炎), 소양증(瘙痒症), 경종병(硬腫
病), 좌창(痤瘡) 등 뇌종양(腦腫瘍), 폐암(肺癌)의 배합혈(配合穴), 백혈구감
소증(白血球 減少症), 암환자(癌患者)의 빈혈(貧血).
臨床 : ① 천식(喘息) - 加 전중(顫中). 풍륭(豊隆),
② 감모(感冒) - 加 풍지(風池), 풍문(風門), 폐유(肺兪),
③ 풍습성척주염(風濕性脊柱炎) : 加 대추(大椎), 신주(身柱), 지양 (至陽), 근
축(筋縮).
④ 항강증(項强症) : 加 경골(京骨).
⑤ 요척강직(腰脊强直) : 加 격관(膈關), 수분(水分).
⑥ 폐염(肺炎) - 加 폐유(肺兪), 중부(中府), 공최(孔最),
⑦ 견배비만(肩背肥滿) : 加 견정(肩井), 궐음수(厥陰兪), 신수(腎兪) - 지압
료법(指壓療法).
操作 : 0.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대종 (大鍾)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락혈(絡穴)(원혈(原穴)은 태계(太溪))
KI-4 定位 : 태계혈(太溪穴) 후 하방 0.5寸 근건(筋腱) 안쪽 전연(前緣).
效能 : 자음보신(滋陰補腎) 청열숙폐(淸熱肅肺)
主治 : 흉민(胸悶), 각혈(咯血), 기천(氣喘), 학질(瘧疾), 담명(痰鳴)(喉中), 설 건(舌
乾), 구열(口熱), 인두통(咽頭痛), 식도협착(食道狹窄), 치매(痴 呆), 기와(嗜
臥), 요척통(腰脊痛), 소변불리(小便不利), 뇨빈임리불단 (尿頻淋漓不斷), 뇨
통(尿痛), 유뇨(遺尿), 뇨폐(尿閉), 변비(便秘), 대 변곤난(大便困難), 실면(失
眠), 족퇴통(足腿痛)(對應穴 手掌側), 족근 통(足跟痛), 신경쇠약(神經衰弱),
히스테리, 자궁경련(子宮痙攣).
臨床 : ① 변비(便秘) - 加 석관(石關),
② 뇨폐(尿閉) - 加 수도(水道),
③ 실면(失眠) - 加 신문(神門)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대추 (大椎) : 독맥(督脈)
GV-14 【甲乙】에 삼양(三陽) 독맥(督脈)의 會
定位 : 제 7 경추(頸椎) 극돌(棘突) 아래.
效能 : 해표청열(解表淸熱), 소풍산한(疏風散寒), 식풍지경(息風止痙), 청뇌 영신
(淸腦寧神). 보법(補法) - 진분양기(振奮陽氣), 익양고표(益陽固表). 사법(瀉
法) - 퇴열해표(退熱解表), 구사산한(驅邪散寒), 화어통락(化瘀通絡)
主治 : 중서(中暑), 학질(瘧疾), 오한(惡寒), 발열(發熱), 무한증(无汗症), 골 증조열
(骨蒸潮熱), 두통(頭痛), 항강증(項强症), 해수(咳嗽), 기천(氣 喘), 숙폐영심
(肅肺寧心), 소아경풍(小兒痙風), 탄탄(癱瘓), 우울증(憂 鬱症), 발광증(發狂
症), 간질증(癎疾證), 전간(癲癎), 소아경풍(小兒痙 風), 각궁반장(角弓反張),
구토(嘔吐), 담마진(蕁麻疹), 좌창(痤瘡), 은설병(銀屑病), 모낭염(毛囊炎), 단
독(丹毒), 소양증(瘙痒症), 경피병(硬皮病), 경종병(硬腫病).
現代 : 발열(發熱), 유행성감기(流行性感氣), 백일해(百日咳), 기관지 염(氣
管支炎), 폐기종(肺氣腫), 폐결핵(肺結核), 폐염(肺炎), 간염(肝炎), 황
달(黃疸), 저열증(低熱症), 혈액병(血液病), 단 독(丹毒), 옹저(癰疽), 습진(濕
疹), 파상풍(破傷風), 신경쇠약 (神經衰弱),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경추병
(頸椎病), 견관절 주위염(肩關節周圍炎), 마비(痲痹), 뇌염(腦炎), 뇌추수막
염 (腦椎髓膜炎), 급성유선염(急性乳腺炎), 유선증식증(乳腺增殖 症), 편도
체염(扁桃体炎), 인후염(咽喉炎), 임파결핵(林巴結 核). 폐암(肺癌)의 주요
(主要) 배합혈(配合穴).
臨床 : ① 감기(感氣) 신열(身熱) 두통(頭痛) 경항강직(頸項强直) -
加 곡지(曲池), 외관(外關), 합곡(合谷), 풍지(風池).
②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 - 加 풍지(風池), 곡지(曲池).
③ 기관지염(氣管支炎) - 加 풍륭(豊隆).
④ 백혈구감소증(白血球減少症) -
加 곡지(曲池), 족삼리(足三里), 비수(脾兪), 삼음교(三陰交).
⑤ 정신분열증(精神分裂症) - 加 도도(陶道), 이추하(二椎下)(无名), 신주(身
柱).
⑥ 학질(瘧疾) - 加 지양(至陽), 간사(間使).
⑦ 소아경풍(小兒痙風) - 加 풍지(風池), 수구(水泃), 후계(后溪), 신맥(申脈).
操作 : 침첨(針尖)을 상향으로 0.5~1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심자(深刺)를 금하
며, 지체(肢體)에 마전감(麻電感)이 나타나면 속 히 침을 뽑아야 한다. 따라
서 제삽(提揷)과 염전(捻轉)을 금(禁)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