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약전 3 / 까마중 全草 ⇒용규 (龍葵)- 거풍습청열약

Aktualisiert: 29. Juli 2019


까마중 : 全草 ⇒ 용규 (龍葵) ☆☆☆☆ 암치료약(癌治療葯)

까치발 : 根 - 토황련(土黃連), 지황련(地黃連) ; 漢名은 귀침초(鬼針草), 동화채(桐花菜)

成分 : 葉에 flavonoid

葯效 : 淸熱解毒(청열해독), 感氣(감기), 瘀血(어혈), 毒蛇咬傷(독사교상) 等

까치수염 : 큰까치수염 - 숙존악 (宿存萼)

개구리밥 ⇒ 부평초 (浮萍草), 부평 (浮萍)

개규약 (開竅葯) : 麝香(사향), 冰片(빙편), 蘇合香(소합향), 石菖蒲(석창포), 蟾穌(섬소), 牛黃(우

황), 樟腦(장뇌) 등

개규제 (開竅劑)

1) 대체로 芳香開竅葯物(방향개규약물)을 爲主(위주)로 構成(구성)되어 開竅醒神作用(개

규성신작용)을 하며 神昏竅閉證(신혼규폐증)을 치료하는 方劑(방제)를 總稱(총칭) 開竅

劑(개규제)라 한다. 즉 凉開劑(량개제)와 溫開劑(온개제)로 분류한다.

2) 神昏竅閉證(신혼규폐증) 分類(분류)

⑴ 實證(실증) : 邪盛氣實(사성기실), 口噤(구금), 兩手握固(양수악고), 脈象有力(맥상유

력)

⑵ 閉證(폐증)

① 熱閉(열폐) : 溫邪引起(온사인기), 熱毒(열독) 心包內陷(심포내함).

- 淸熱開竅(청열개규) - 凉開(량개)

② 寒閉(한폐) : 寒邪(한사) 或 氣鬱引起(기울인기), 痰濁(담탁) 心竅蒙蔽(심규몽폐)

- 溫通開竅(온통개규) - 溫開(온개)

⑶ 虛證(허증) : 汗出肢冷(한출지냉), 氣微遺尿(기미유뇨), 口開目合(구개목합), 精神昏

迷(정신혼미) 등 脫證(탈증) - 開竅劑不適合(개규제부적합)

3) 注意(주의) : 開竅劑(개규제)는 救急劑(구급제)이다. 久服(구복)하면 元氣(원기)를 損傷

(손상)시키므로 病勢(병세)가 好轉(호전)되면 즉시 服用(복용)을 中止(중지)

한다.

개맥문동 : Liriope spicata Lour.

成分 : 점액질 및 糖(당)을 含有(함유)하고, 有效成分未詳(유효성분미상)

葯效 : 治燥(치조) 平瀉劑(평사제) 鎭咳(진해), 滋養劑(자양제)

개보본초 (開寶本草) : 宋開寶(송개보) 六年(973) 著者(저자) 馬志(마지) 등, 21卷 983 種 葯物

(약물) - 原書失傳(원서실전) 增葯(증약) 133 種

개암나무 : 진인 (榛仁, 개암), 漢名(한명) : 榛(진)

成分 : 脂肪(지방), 蛋白質(단백질), 糖(당).

葯效 : 强壯葯(강장약) 및 食用(식용)

거담제 (祛痰劑)

1) 祛痰葯(거담약) 위주로 構成(구성)되어 消除痰飮作用(소제담음작용)하므로 各種(각종)

痰病(담병)을 治療(치료)하는 方劑(방제)로써 祛痰劑(거담제)라 通稱(통칭)한다.

2) 痰(담)이 病(병)이 되면 이르지 않는 곳이 없으므로, 胸膈(흉격), 腸胃(장위), 經絡(경락),

四肢(사지) 등 각처에 모두 있게 되고 그 發病(발병)은 恒常(항상) 咳嗽喘促(해수천촉),

眩暈嘔吐(현운구토), 癲狂驚癇(전광경간)과 痰核瘰癧(담핵라력) 등으로 나타난다.

3) 治療法(치료법)은

⑴ 脾失健運者(비실건운자)는 燥濕健脾化痰(조습건비화담)하며, 火熱內鬱(화열내울)

하고,

⑵ 煉液痰病者(연액담병자)는 淸熱化痰(청열화담)하고,

⑶ 陰虛肺燥(음허폐조)하여 虛火灼津者(허화작진자)는 潤肺化痰(윤폐화담)하고,

⑷ 脾腎兩虛(비신양허)하여, 寒飮內停(한음내정)하거나 혹은 肺寒(폐한) 留飮者(류음

자)는 溫陽化痰(온양화담)한다.

⑸ 肝風內動(간풍내동)하고, 挾痰上擾者(협담상요자)는 熄風化痰(식풍화담)하고, 外邪

襲肺(외사습폐)하여, 肺失(폐실) 宣降痰火聚液者(선강담화취액자)는 宣肺化痰(선폐

화담)하는 等 治法(치법)을 應用(응용)한다.

4) 祛痰劑(거담제)에는

① 燥濕化痰(조습화담) ② 淸熱化痰(청열화담) ③ 潤燥化痰(윤조화담)

④ 溫化化痰(온화화담) ⑤ 治風化痰(치풍화담) 等 5 種이 있다.

거서이습제 (祛暑利濕劑).

1) 感冒(감모)에 濕邪(습사)를 感受(감수)하여 身熱煩渴(신열번갈)하고 胸脘痞悶(흉

완비민)하며 小便不利(소변불리)하는 등 症(증)에 適用(적용)되는 淸暑熱利小便

(청서열이소변)의 方劑(방제)이다.

2) 暑熱(서열)의 濕邪(습사)를 小便(소변)으로 排出(배출)시키는 것이다.

⑴ 常用葯(상용약)은 滑石(활석), 茯苓(복령), 澤瀉(택사) 等 이고

⑵ 代表方劑(대표방제)는 六一散(육일산), 桂苓甘露散(계령감로산)이 있다.

六一散(육일산)

≒ 滑石(활석)180, 甘草(감초)30. - 祛暑利濕(거서이습).

桂苓甘露散(계령감로산)

≒ 茯苓(복령)30, 甘草(감초)6, 炙白朮(자백출)12, 澤瀉(택사)15, 官桂

(관계)3, 石膏(석고)30, 寒水石(한수석)30, 滑石(활석)30, 猪苓(저

령)15.

- 祛暑淸熱(거서청열), 化氣利濕(화기이습)

거서제 (祛暑劑)

1) 暑邪(서사)를 除去(제거)하는 작용을 하므로 暑病(서병)을 치료하는 方劑(방제)로 쓰여

지며 通稱(통칭) 祛暑劑(거서제)라 한다.

2) 暑邪(서사)는 六淫(육음)의 하나로 여름의 主氣(주기)이며 溫熱(온열)이나 火熱(화열)의

範疇(범주)에 속한다. 《素問․熱論》에 前夏至(전하지)의 病(병)은 溫病(온병)이고 后夏

至(후하지)의 病(병)은 暑病(서병)이라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前人(전인)들도 역시 暑

病(서병)의 根本(근본)은 夏月(하월)의 熱病(열병)이라고 말하였음을 알 수 있다.

3) 夏月(하월)의 氣候(기후)는 比較的(비교적) 潮濕(조습)하다. 卽 질척하다. 그래서 暑病

(서병)에는 항상 濕邪(습사)가 隨伴(수반)된다. 夏季(하계)의 暑炎熱(서염열)에 대해서

사람들은 대부분 納凉冷飮(납량냉음)을 좋아 하고 風露(풍로)를 피하지 않는다. 그래

서 表寒(표한)을 쉽게 겸하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각기 다른 특성에 따라 祛暑劑(거서

제)가 相應(상응)하게 된다.

① 祛暑解表(거서해표) ② 祛暑淸熱(거서청열) ③ 祛暑利濕(거서이습) ④ 淸暑益氣(청

서익기) 로 나눈다.

거서청열제 (祛暑淸熱劑)

1) 夏月(하월)에 暑熱病(서열병)을 받은 사람(者)에게 適用(적용)되는 것으로 身熱心

煩(신열심번)과 汗多口渴(한다구갈) 등 證(증)으로 나타난다.

2) 常用葯(상용약)으로는 西瓜翠衣(서과취의), 銀花(은화), 扁豆花(편두화), 荷葉(하

엽) 등을 위주로 構成(구성) 되었으며

3) 代表方劑(대표방제)는 淸絡飮(청락음) 같은 것이다.

淸絡飮(청락음)

≒ 鮮荷葉邊(선하엽변)6, 鮮銀花(선은화)9, 絲瓜皮(사과피)6, 西瓜翠衣(서과취

의)6, 鮮扁豆花(선편두화)6, 鮮竹葉心(선죽엽심)6. - 祛暑淸熱(거서청열)

거서해표제 (祛暑解表劑)

1) 暑氣(서기)가 內伏(내복)하고 兼(겸)하여 風寒(풍한)을 外感(외감)하여서 惡寒發熱

(오한발열), 无汗頭痛(무한두통), 心煩口渴(심번구갈) 등의 證(증)으로 나타난다.

2) 常用葯(상용약)으로는 解表葯(해표약)인 香薷(향유)를 위주로 방제를 構成(구성)

하며

3) 代表方劑(대표방제)는 新加香薷飮(신가향유음)이 있다.

新加香薷飮(신가향유음)

≒ 乳香(유향)6, 銀花(은화)9, 鮮扁豆花(선편두화)9, 厚朴(후박)6, 連翹(연

교)9. - 祛暑解表(거서해표), 淸熱化濕(청열화습).

거습제 (祛濕劑)

1) 祛濕葯物(거습약물)로 構成(구성)되어 化濕利水(화습이수) 通淋泄濁(통림설탁) 작용이

있어 水濕病證(수습병증)을 치료하는 方劑(방제)의 일종으로 祛濕劑(거습제)라고 通稱

(통칭)한다.

2) 濕邪(습사)의 病(병)은 外襲(외습)과 內生(내생)이 있다.

⑴ 外襲 : 卑濕(비습)이 居處(거처)할 때마다 天雨(천우)의 濕蒸(습증)을 받아 汗出(한출)

로 옷이 흡뻑 젖고 邪氣(사기)가 오래 머물러 正氣(정기)가 邪氣(사기)를 이기

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는 人体(인체)의 肌表經絡(기표경락)이 傷(상)하

기 때문이다. 發病(발병)하면 惡寒發熱(오한발열), 頭脹身重(두창신중), 肢節

煩疼(지절번동) 或 面目浮腫(면목부종) 等 證이 보인다.

⑵ 內生 : 生冷飮食(생냉음식)과 酒酪過飮(주락과음)하여 濕濁(습탁)이 內生(내생)하고

脾氣 (비기)가 困傷(곤상)하여지는 까닭에 健全(건전)한 運行(운행)이 되지 않

는 것이다. 이 病症(병증)은 胸脘痞悶(흉완비민), 嘔惡泄痢(구오설리), 黃疸淋

濁(황달임탁), 足跗浮腫(족부부종)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또한 肌表(기표)

와 臟腑(장부)는 表里(표리)로 相關關係(상관관계)에 있으므로 表(표)의 濕(습)

은 臟腑(장부)로 轉移(전이)하고 里濕(리습)도 역시 轉移(전이)하여 肌膚外溢

(기부외일)되는 까닭에 外濕(외습)과 內濕(내습)이 相兼(상겸)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3) 濕邪(습사)의 病(병)은 恒常(항상) 風(풍), 寒(한), 暑(서), 濕(습), 熱(열)과 서로 관계가

있다.

人体(인체)는 虛實强弱(허실강약)의 區別(구별)이 있고 侵犯(침범)하는 부위도 上下表

里(상하표리)의 구별이 있으며 病情(병정)도 역시 寒化(한화), 熱化(열화)의 차이가 있

다. 이로 말미암아 祛濕法(거습법)도 역시 비교적 複雜(복잡)하다. 대체로 濕邪(습사)가

上(상)과 外(외)에 있는 사람은 表散微汗(표산미한)으로 內(내)와 下(하)에 있는 者(자)는

芳香苦燥劑(방향고조제) 혹은 甘淡滲利(감담삼리)로 除去(제거)하는 것이 좋다. 寒化者

(한화자)는 溫陽化濕(온양화습), 熱化者(열화자)는 淸熱祛濕(청열거습), 體虛濕盛者(체

허습성자)는 祛濕扶正(거습부정)을 兼(겸)하여 다스리는 것이 좋다.

4) 祛濕劑(거습제)는

⑴ 燥濕和胃(조습화위) ⑵ 淸熱祛濕(청열거습) ⑶ 利水滲濕(이수삼습) ⑷ 溫化水濕

(온화수습) ⑸ 祛風勝濕(거풍승습) 等으로 나누어 진다.

거풍습강근골약 (祛風濕强筋骨葯)

葯種 : 五加皮(오가피)(溫), 桑寄生(상기생)(平), 狗脊(구척)(溫), 千年健(천년건)

(溫), 虎骨(호골)(寒).

歸經 肝 : 五加皮(오가피), 桑寄生(상기생), 狗脊(구척), 千年健(천년건), 虎骨(호골).

腎 : 五加皮(오가피), 桑寄生(상기생), 狗脊(구척), 千年健(천년건), 虎骨(호골).

거풍습약 (祛風濕葯)

祛風濕散寒葯(거풍습산한약), 祛風濕淸熱葯(거풍습청열약), 祛風濕强筋骨葯(거풍습

강근골약)등 三種(삼종)으로 分類(분류)하며 該當葯(해당약)은 各科(각과)를 參照(참

조)

거풍습산한약 (祛風濕散寒葯)

功效 : 風寒濕邪症(풍한습사증) 治療(치료)

葯種 : 獨活(독활)(溫), 威靈仙(위령선)(溫), 川烏(천오)(溫)(附葯 草烏), 伸筋草(신

근초)(溫), 尋骨風(심골풍)(平), 松節(송절)(溫), 海風藤(해풍등)(微溫), 蘄蛇

(기사)(溫)(附葯 金錢白花蛇), 烏梢蛇(平)(附葯 蛇蛻), 雷公藤(뇌공등)(寒),

老鶴草(노학초)(平), 木瓜(목과)(溫), 蚕沙(잠사)(溫), 路路通(로로통)(平).

歸經 肝 : 獨活(독활), 川烏(천오), 蘄蛇(기사), 烏梢蛇(오초사), 雷公藤(뇌공등), 木瓜

(목과), 蚕沙(잠사), 伸筋草(신근초), 尋骨風(심골풍), 松節(송절), 海風藤

(해풍등), 老鶴草(노학초), 路路通(로로통).

心 : 川烏(천오), 雷公藤(뇌공등).

脾 : 川烏(천오), 木瓜(목과), 蚕沙(잠사).

胃 : 蚕沙(잠사), 路路通(로로통). 大腸 : 老鶴草(노학초).

腎 : 川烏(천오), 松節(송절).

膀胱 : 獨活(독활), 威靈仙(위령선), 路路通(로로통).

거풍습서근활락약 (祛風濕舒筋活絡葯)

葯種 : 絡絲藤(락사등)(微寒), 木瓜(목과)(溫), 白花蛇(백화사), 絲瓜絡(사과

락)(平), 桑枝(상지)(平), 徐長卿(서장경)(溫), 尋骨風(심골풍)(平), 烏

梢蛇(오초사)(平), 臭梧桐(취오동)(凉), 海桐皮(해동피)(平), 海風藤(해

풍등)(微溫), 豨薟草(희렴초)(寒).

歸經 肝 : 絡絲藤(락사등), 木瓜(목과), 絲瓜絡(사과락), 桑枝(상지), 徐長卿

(서장경), 尋骨風(심골풍), 烏梢蛇(오초사), 臭梧桐(취오동), 海桐

皮(해동피), 海風藤(해풍등), 豨薟草(희렴초).

心 : 絡絲藤(락사등).

脾 : 木瓜(목과), 絲瓜絡(사과락), 徐長卿(서장경).

肺 : 絲瓜絡(사과락). 腎 : 豨薟草(희렴초).

거풍습지비통약 (祛風濕止痺痛葯)

葯種 : 獨活(독활)(溫), 馬錢子(마전자)(寒), 菝葜(발계)(平), 防己(방기)(寒), 松節

(송절)(溫), 威靈仙(위령선)(溫), 蚕沙(잠사)(溫), 秦艽(진구)(微寒), 草烏

(초오)(溫), 海桐皮(해동피)(平).

歸經 肝 : 獨活(독활), 馬錢子(마전자), 菝葜(발계), 松節(송절), 蚕沙(잠사), 秦艽

(진구), 草烏(초오), 海桐皮(해동피).

膽 : 秦艽(진구). 舊學說(구학설)

心 : 草烏(초오).

脾 : 馬錢子(마전자), 防己(방기), 蚕沙(잠사), 草烏(초오).

胃 : 蚕沙(잠사), 秦艽(진구). 腎 : 菝葜(발계), 防己(방기), 草烏(초오).

膀胱 : 防己(방기), 威靈仙.

거풍습청열약 (祛風濕淸熱葯)

功効 : 風熱濕邪證(풍열습사증) 治療(치료)

葯種 : 秦艽(진구)(微寒), 防己(방기)(寒), 桑枝(상지)(平), 豨薟草(희렴초)(寒), 臭梧

桐(취오동)(凉), 海桐皮(해동피)(平), 落石藤(락석등)(微寒), 穿山龍(천산용)

(微寒), 絲瓜絡(사과락)(平).

歸經 肝 : 秦艽(진구), 桑枝(상지), 豨薟草(희렴초), 臭梧桐(취오동), 海桐皮(해동

피), 落石藤(락석등), 穿山龍(천산용), 絲瓜絡(사과락).

膽 : 秦艽(진구). - 舊學說(구학설)

心 : 落石藤(락석등).

脾 : 防己(방기).

胃 : 秦艽(진구), 絲瓜絡(사과락).

肺 : 穿山龍(천산용), 絲瓜絡(사과락).

腎 : 防己(방기), 豨薟草(희렴초).

膀胱 : 防己(방기).

3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약전101 / 활혈료상약(活血療傷葯) - 황백 (黃柏-淸熱燥濕)

활혈료상약 (活血療傷葯) 蟅虫(자충)(寒), 自然銅(자연동)(平), 蘇木(소목)(平), 骨碎補(골쇄보)(溫), 馬錢子(마 전자)(寒), 血 竭(혈갈)(平), 兒茶(아차)(凉), 劉寄奴(유기노)(溫). 歸經 肝 : 蟅虫(자충), 自然銅(자연동)....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