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전 5 / 경부 (頸部) 이혈(耳穴) - 곡지 (曲池)

Aktualisiert: 16. Juli 2021


경부 (頸部) : 이혈(耳穴)

定位 : 대이륜상각(對耳輪上角) - 경추혈(頸椎穴) 앞쪽, 이강(耳腔) 주변에 근접(近

接)해 있다.

主治 : 락침(落枕), 경부뉴상(頸部扭傷), 단순성(單純性) 갑상선종대(甲狀腺 腫大).

경비 (頸臂) : 기혈(寄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쇄골(鎖骨) 안쪽 1/3 부위(외측에서 2/2 부위)의 상방(上方) 1 寸, 흉쇄유돌

근(胸鎖乳突筋)의 쇄골두(鎖骨頭) 후연(后緣)

主治 : 수비마목(手臂麻木), 상지탄탄(上肢癱瘓).

臨床 : ① 요골신경마비(撓骨神經痲痺) - 加 곡지(曲池), 양계(陽溪).

② 정중신경마비(正中神經麻痹) - 加 비중(臂中), 내관(內關).

③ 척골신경마비(尺骨神經麻痹) - 加 소해(小海), 지정(支正).

操作 : 직자(直刺) 수평(水平)으로 0.5~0.8寸 자입(刺入)

경외기혈(經外寄穴) : 경외기혈(經外寄穴)은 십이경맥(十二經脈)과 임맥(任脈)및 독맥(督 脈)을

합친 14경의 정경(正經) 수혈(腧穴)이외에 혈(穴)로써 인체를 5개의 구역

을 나누어서 각개지역에 분포된 총 48개혈을 선별하였 다. 그러나 이 외

에도 많은 혈(穴)들이 있고 또 앞으로 의료신천과 발전에 따라 새로운 혈

(穴)들이 확인 되리라고 본다. 아래의 5개 구역 이외의 혈들은 인근에 수

지부(手指部), 족부(足部), 두경부(頭頸部), 요부(腰部) 등등 찾기 쉬운 이

름아래 두었다.

1) 두경부기혈(頭頸部奇穴) EX-HN 1~15 혈(穴)

사신총(四神聰), 당양(當陽), 인당(印堂), 어요(魚腰), 태양(太陽), 이첨(耳

尖), 구후(球后), 상영향(上迎香), 내영향(內迎香), 취천(聚 泉), 해천(海泉),

금진(金津), 옥액(玉液), 예명(翳明), 경백로(頸百 勞).

2) 흉복부기혈(胸腹部奇穴) EX-CA 1 혈(穴) 자궁(子宮).

3) 배부기혈(背部奇穴) EX-B 1~9 혈(穴)

정천(定喘), 협척(夾脊), 비근(痞根), 하지실(下志室), 요의(腰宜), 요 안(腰眼),

십칠추(十七椎), 요기(腰奇).

☞ 위완하수(胃脘下兪)는 방광경(膀胱經)의 배수혈(背兪穴)인 췌수혈(膵兪穴)

이 되었음.

4) 상지부기혈(上肢部奇穴) EX-UE 1~11 혈(穴)

주첨(肘尖), 이백(二白), 중천(中泉), 중괴(中魁), 대골공(大骨空), 소골공

(小骨空), 요통점(腰痛点), 외노궁(外勞宮), 팔사(八邪), 사봉 (四縫), 십선

(十宣).

5) 하지부기혈(下肢部奇穴) EX-LE 1~12 혈(穴)

관골(髖骨), 학정(鶴頂), 슬내(膝內), 내슬안(內膝眼), 슬안(膝眼), 담낭(膽

囊), 난미(闌尾), 내과첨(內踝尖), 외과첨(外踝尖), 팔풍(八 風), 독음(獨陰),

기단(氣端).

경천 (頸淺) : 기혈(寄穴) - 경부(頸部)

定位 : 경부(頸部) 갑상연골(甲狀軟骨) 上下를 지나며 목을 한 바퀴 도는 피부 주

름살을 따라 1~2cm 간격을 두고 한 점씩 침을 시술한다. 이 혈위(穴位)를

경천혈(頸淺穴)이라 한다.

效能 : 소염지통(消炎止痛), 화담(化痰).

主治 : 인후건통(咽喉乾痛), 급만성(急慢性) 인후염(咽喉炎). 식도암(食道癌), 후두

암(喉頭癌), 편도선암(扁桃腺癌), 폐암(肺癌).

操作 : 1~2分 점자(点刺).

경추 (頸椎) : 이혈(耳穴)

定位 : 對耳輪上角 - 륜주절흔에서 이륜상각과 하각이 갈라진 곳까지 5 等分하여 下 1/5

主治 : 낙침(落枕), 경추관절문난증(頸椎關節紊亂證) 경추증후군(頸椎症候 群)(綜合證)

경항점 (頸項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수배(手背), 제 2 장지관절(長指關節) 척측(尺側)

主治 : 락침(落枕)

경혈 (經穴) : 오수혈(五輸穴) 즉 정, 형, 수, 경, 합(井,滎,輸,經,合)에 속하며 오행(五行)에 서는 음

경(陰經)은 금(金)에 속하고, 양경(陽經)은 화(火)에 속한다.

음경(陰經) : 경거(經渠 手太陰肺經), 간사(間使 手厥陰膈經), 영도(靈道 手少陰心

經), 상구(商丘 足太陰脾經), 중봉(中封 足厥陰肝經), 복류(復溜 足少

陰腎經),

양경(陽經) : 양계(陽溪 手陽明大腸經), 지구(支溝 手少陽三焦經), 양곡(陽谷 手太

陽小腸經), 해계(解溪 足陽明胃經), 양보(陽輔 足少陽膵經), 곤륜(崑崙

足太陽膀胱經),

계맥 (瘈脈)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18 定位 : 유돌(乳突) 중앙(中央), 예풍(翳風)과 각손혈(角孫穴)이 귀곽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는 연선 1/3 절점.

主治 : 두통(頭痛), 이농(耳聾), 이명(耳鳴), 난청(難聽), 간질병(癎疾病), 구토(嘔吐),

소아경련(小兒痙攣), 이질(痢疾).

臨床 : ① 소아경풍(小兒痙風) - 加 장강(長强).

② 편두통(偏頭痛) - 加 두유(頭維).

③ 이명(耳鳴) 이농(耳聾) - 加 청궁(聽宮), 예풍(翳風).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혹은 점자출혈(點刺出血), 가구(可灸).

고방 (庫房)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14 定位 : 쇄골(鎖骨) 아래 제 1 늑간극(肋間隙) 정중선(正中線) 左右 4 寸.

主治 : 해수(咳嗽), 기천(氣喘), 흉협동통(胸脇疼痛), 기관지염(氣管支炎), 늑간신경

통(肋間神經痛).

臨床 : ① 해수(咳嗽) 기단(氣短) - 加 옥예(屋翳), 고방(庫房).

② 기천(氣喘) - 加 소택(少澤), 심수(心兪).

③ 유선염(乳腺炎) 초기(初期)-加 유근(乳根), 견정(肩井), 곡지(曲池)

操作 : 0.5~0.8寸 外側으로 斜刺, 可灸.

고황수 (膏肓兪)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43 定位 : 제 4 흉추극돌(胸椎棘突)아래, 左右 3 寸.

效能 : 양음청폐(養陰淸肺), 보허(補虛). - 보폐건비(補肺健脾), 치노익손(治勞

益損), 영심배신(寧心倍腎), 부원살충(扶元殺虫).

主治 : 해수(咳嗽), 기천(氣喘), 흉통(胸痛), 각혈(咯血), 토혈(吐血), 담 다(痰多),

골증조열(骨蒸潮熱) 혹 노열(勞熱), 도한(盜汗), 건망 증(健忘症), 실면

(失眠), 유정(遺精), 양위(陽痿), 납매(納呆), 복 창(腹脹), 변당(便溏) 견배

통(肩背痛).

現代 : 폐결핵(肺結核), 기관지염(氣管支炎), 천식(喘息), 효천(哮 喘), 흉막염

(胸膜炎), 신경쇠약(神經衰弱), 소화불량(消化 不良), 구병허약(久病虛

弱). 암병(癌病)의 주요(主要) 배합혈(配合穴).

臨床 : ① 폐결핵(肺結核) - 加 폐수(肺兪), 신수(腎兪)(灸).

② 천식(喘息) - 加 ⓐ 천돌(天突), 대추(大椎). ⓑ 천돌(天突), 정천(定喘).

③ 골증조열(骨蒸潮熱) - 加 족삼리(足三里), 격수(膈兪).

④ 구병허약(久病虛弱) - 加 관원(關元)(灸), 족삼리(足三里)(灸).

⑤ 허로(虛勞) - 加 백노(百勞)를 각각 配用한다.

操作 : 0.5~0.1寸 斜刺, 可灸.

곡골 (曲骨) : 임맥(任脈)

CV-2 【甲乙】에 임맥(任脈) 족궐음(足厥陰)의 會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제하(臍下) 5 寸, 치골연합(耻骨聯合) 상연(上椽) 오목

한 함요부(陷凹部).

主治 : 소변불리(小便不利), 유뇨(遺尿), 유정(遺精), 양위(陽痿), 월경이상(月 經異

常), 월경통(月經痛), 대하(帶下), 자궁탈수(子宮脫垂), 방광염(膀 胱炎), 고환

염(睾丸炎).

臨床 : ① 소변불리(小便不利) - 加 삼음교(三陰交), 중극(中極), 신유(腎兪).

② 양위(陽痿) 유정(遺精) - 加 관원(關元), 귀래(歸來).

操作 : 0.5~1寸 직자(直刺). 안에는 방광(膀胱)이 있음으로 배뇨(排尿) 후에 침자

(針刺)해야 하고, 또 부녀자의 경우는 자궁(子宮)이 있음으로 임 신부(姙娠

婦)는 금침(禁針)이다.

가구(可灸).

곡빈 (曲鬢)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7 【甲乙】에 족태양(足太陽) 소양(少陽)의 會

定位 : 귀앞 빈발후연 위쪽에 있는 각손혈(角孫穴)앞으로 손가락 한 마디 (一橫指)

간격으로 각손혈(角孫穴)과 평행(平行) 되게 혈(穴)을 취한 다.

主治 : 편두통(偏頭痛), 협종(頰腫), 치통(齒痛), 구금(口噤), 폭음(暴瘖), 안 병(眼病),

경항강직(頸項强直),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第三枝), 측 두근경련(側頭筋

痙攣).

臨床 : ① 이명(耳鳴) 이농(耳聾) - 加 예풍(翳風), 청궁(聽宮).

② 안병(眼病) - 加 풍지(風池), 각손(角孫), 신수(腎兪), 태양(太陽), 합곡(合

谷).

著作 : 뒤로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곡원 (曲垣) :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SI-13 定位 : 견갑강(肩甲岡)위 함요부(陷凹部) 내측(內側), 노수혈(臑兪穴)과 제 2 흉추

극돌(胸椎棘突) 연선(連線)의 중점(中點).

主治 : 견갑통(肩甲痛), 극상근건염(棘上筋腱炎), 견관절주위연조직질환(肩關 節

周圍軟組織疾患).

臨床 : ① 견배통(肩背痛) - 加 곤륜(崑崙), 대추(大椎).

② 극상근건염(棘上筋腱炎) - 加 비노(臂臑)와 환측(患側)의 양능천혈(陽陵

泉穴).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 가구(可灸).

곡지 (曲池)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1 오수혈(五輸穴)의 합혈(合穴)(土)

定位 : 팔굽을 굽혀 직각이 되면 주횡문(肘橫紋) 外側 끝과 굉골(肱骨) 외 상과(外

上髁) 연선(連線)의 중점(中點). 체위의 변동에 따라 여러 가지 취혈(取穴)

방법이 있는데 예를 들면 팔굽을 굽혀 45° 각일 때 주횡문(肘橫紋) 외측(外

側)끝은 혈(穴)이고 팔굽을 굽혀 90° 각일 때 주횡문(肘橫紋) 끝과 굉골외

상과(肱骨外上髁) 사이가 혈(穴)이고 주 관절(肘關節)을 펴면 척택(尺澤)과

굉골외상과(肱骨外上髁) 사이가 혈(穴)이다.

效能 : 소사열(疏瀉熱), 이관절(利關節), 거풍습(祛風濕), 조기혈(調氣血), 거 풍해

표(祛風解表), 청열이습(淸熱利濕), 조화영혈(調和營血). 보법(補法) - 장근

보허(壯筋補虛), 익기양음(益氣養陰). 사법(瀉法) - 거풍산사(祛風散邪), 청

열투표(淸熱透表).

主治 : 열성병(熱性病), 학질(瘧疾), 인후종통(咽喉腫痛), 감모(感冒), 피부병 (皮膚

病), 두드러기(蕁麻疹), 각종종기(各種腫氣), 복통설사(腹痛泄 瀉), 이질(痢

疾), 구토(嘔吐), 치통(齒痛), 편도선염(扁桃腺炎), 목적종 통(目赤腫痛), 시력

불명(視力不明), 肩臂腕骨疼痛 견비완골동통(肩臂腕骨疼痛), 상지마비(上

肢麻痹), 수라마목(手瘰麻木), 반신불수(半 身不遂)(偏麻痹), 주관절(肘關節)

상지부위(上肢部位) 신경통(神經 痛), 주관절주위염(肘關節周圍炎), 견관절

신경통(肩關節神經痛), 연주 창(連珠瘡, 瘰癧), 흉중번민(胸中煩悶), 고혈압

(高血壓), 경련(痙攣), 전광(癲狂), 정신병(精神病), 빈혈(貧血), 과민성질환

(過敏性疾患), 홍 역(紅疫), 갑상선종대(甲狀腺腫大), 폐염(肺炎). 담마진(蕁

麻疹), 신경성피염(神經性皮炎), 은설병(銀屑病), 개창(疥瘡), 단독(丹毒), 과

민성자전(過敏性紫癜), 소양증(瘙痒症), 주사비(酒渣鼻), 발제창(髮際瘡), 무

맥증(无脈症). 암병보혈(癌病補穴).

臨床 : ① 상지불수(上肢不遂) 동통(疼痛) - 加 합곡(合谷), 견우(肩髃).

② 감모(感氣) 고열(高熱) - 加 합곡(合谷), 외관(外關).

③ 고혈압(高血壓) - 加 족삼리(足三里), 인영(人迎).

④ 담마진(蕁麻疹) 피부소양(皮膚瘙痒) - 加 혈해(血海).

⑤ 경련(痙攣) 전질(癲疾) - 加 소택(少澤).

⑥ 원발성(原發性) 혈소판감소성(血小板减少性) 자반병(紫斑病) -

加 대추(大椎), 태충(太冲), 족삼리(足三里), 합곡(合谷).

⑦ 수비산통(手臂酸痛) - 加 합곡(合谷), 견우(肩髃).

⑧ 구혈(嘔血) - 加 신문(神門), 어제(魚際).

操作 : 0.5~1.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35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Kommentare


Die Kommentarfunktion wurde abgeschalte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