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 2 / 거궐 (巨闕) - 견외수 (肩外兪)

Aktualisiert: 11. Aug. 2019


거궐 (巨闕) : 임맥(任脈)

CV-14 心의 모혈(募穴)(兪穴은 심수(心兪))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배꼽위(臍上) 六寸.

效能 : 영신조기(寧神調氣), 화위이격(和胃利膈). - 기가 잘 통하게 하고(理氣暢中)

흉격담탁(胸膈痰濁)을 가라 앉히며, 중초습체(中焦濕滯)를 제거하여 청심

영신(淸心寧神)케 한다.

主治 : 심통(心痛), 협심증(狹心症)(心絞痛), 심계(心悸), 정신병(精神病), 전 간(癲

癎), 간질증(癎疾證),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흉만(胸滿), 기천 (氣喘), 구토

(嘔吐), 애기(噯氣), 위통(胃痛), 애역(呃疫)(橫膈膜痙攣), 만성간염(慢性肝

炎), 담도회충증(膽道蛔虫症), 위궤양(胃潰瘍), 위경련(胃痙攣), 심내막염(心

內幕炎), 흉막염(胸膜炎). 식도암(食道癌), 위암(胃癌)의 주요혈위(主要穴

位).

臨床 : ① 심통(心痛) 심계(心悸) - 加 내관(內關), 심수(心兪).

② 협심증(狹心症) - 加 심유(心兪), 극문(郄門), 통리(通里).

③ 해수(咳嗽) 기천(氣喘) - 중완(中脘), 천돌(天突).

④ 간질증(癎疾證) -加 풍지(風池), 후계(后溪), 신맥(申脈).

⑤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 풍지투풍지(風池透風池), 내관(內關), 족삼리

(足三里).

⑥ 전간(癲癎) - 加 대추(大椎), 인중(人中), 요기(腰寄), 내관(內關)을 각각

配用한다.

操作 : 0.5~1寸 斜刺, 可灸.

거료 (居髎)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29 【甲乙】에 양교(陽蹺) 족소양(足少陽)의 會

【奇經八脈考】에 양유(陽維) 족소양(足少陽)의 會

定位 : 가전상극(髂前上棘)과 고골대전자(股骨大轉子) 연선중점(連線中点).

效能 : 疏痛經絡(소통경락), 行氣止痛(행기지통).

主治 : 요퇴통(腰腿痛), 요고통(腰股痛), 하지마비(下肢麻痹), 고관절질환(股 關節

疾患), 산기(疝氣), 대하(帶下), 방광염(膀胱炎), 자궁탈출(子宮脫 出), 자궁내

막염(子宮內膜炎), 월경이상(月經異常), 위통(胃痛), 위십 이지장궤양(胃十

二指腸潰瘍).

臨床 : ① 요고통(腰股痛) - 加 풍시(風市), 양능천(陽陵泉), 환도(環跳).

② 하지외측통(下肢外側痛) - 加 양능천(陽陵泉), 절골(折骨).

③ 산기(疝氣) - 加 대돈(大敦), 중극(中極).

④ 위십이지장궤양(胃十二指腸潰瘍) - 加 격수(膈兪), 간수(肝兪), 비수(脾

兪).

操作 : 側臥 取穴.

거료 (巨髎)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3 【甲乙】에 양교(陽蹺) 족양명(足陽明)의 會

定位 : 正面을 볼 때 눈동자아래 비공(鼻孔)과 옆으로 平行인곳

主治 :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痺), 안검순동(眼瞼瞤動), 뉵혈(衄血), 齒痛, 입술 과 뺨의 종통(腫痛),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비염(鼻炎).

臨床 : ①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痺) - 加 합곡(合谷).

② 협종통(頰腫痛) - 加 천창(天窗). 操作 :

針法 : 0.3~0.6 寸 直刺 或은 斜刺, 可灸.

건리 (建里) : 임맥(任脈)

CV-11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제상(臍上) 三寸.

效能 : 건비리기(健脾理氣), 화위소적(和胃消積), 화습관중(化濕寬中).

主治 : 위동통(胃疼痛), 복창(腹脹), 장명(腸鳴), 복통(腹痛), 구토(嘔吐), 식욕부진

(食欲不振), 수종(水腫), 복수(腹水), 급만성위염(急慢性胃炎), 심교통(心絞

痛).

臨床 : ① 위통(胃痛) - 加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비수(脾兪), 위수 (胃兪).

② 수종(水腫) - 加 수분(水分). 操作 : 1~2寸 直刺, 可灸.

건명 (健明) : 신혈(新穴) - 시명(視明), 견양(見陽) ; 두경부(頭頸部)

定位 : 하정명혈(下睛明穴) 아래 약 0.2寸, 안와하연(眼窩下緣)의 內方

主治 : 망막염(網膜炎), 망막색소변성증(網膜色素變性症), 백내장(白內障), 시신경

위축(視神經萎縮), 사시(斜視), 루낭염(淚囊炎).

治法 : 안와연(眼窩緣)을 연(沿)하여 안와중앙(眼窩中央)을 향해 1~1.5寸 자입

(刺入).

건명1 (健明1) : 신혈(新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건명혈(健明穴)과 승읍혈(承泣穴) 사이, 안와상연(眼窩上緣)의 內方

主治 : 각막궤양(角膜潰瘍), 각막운예(角膜云翳)

操作 : 안와연(眼窩緣)을 따라(沿) 眼窩中央을 향해 1~1.5 寸 刺入.

건명2 (健明2) : 신혈(新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승읍혈(承泣穴)과 구후혈(救后穴)사이, 안와하연(眼窩下緣).

主治 : 망막맥락막염(網膜脈絡膜炎), 시신경위축(視神經萎縮), 각막운예(角 膜云翳), 각막백반(角膜白斑), 루낭염(淚囊炎).

治法 : 안와연(眼窩緣)을 따라(沿) 眼窩中央을 향해 1~1.5 寸 刺入.

건명3 (健明3) : 신혈(新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구후혈(救后穴)의 외상방(外上方) 0.3寸, 안와(眼窩) 외측연의 內方.

主治 : 시신경위축(視神經萎縮), 사시(斜視).

治法 : 안와연(眼窩緣)을 따라(沿) 안와중앙(眼窩中央)을 향해 1~1.5 寸 자입

(刺入).

건명4 (健明4) : 신혈(新穴) - 명중(明中) ; 두경부(頭頸部)

定位 : 상정명혈(上睛明穴)위 상방(上方) 0.3寸, 안와상연(眼窩上緣)의 내상 각

(內上角)에 있는 함요부(陷凹部).

主治 : 록내장(綠內障), 굴절이상(屈折異常), 경증(輕症)의 백내장(白內障).

治法 : 안와연(眼窩緣)을 따라(沿) 안와중앙(眼窩中央)을 향해 1~1.5 寸 자입

(刺入).

격강구 (隔姜灸) : 간접구(間接灸)로써 신선한 생강(生姜)을 1mm 정도 두께로 얇게 썬후 중앙

을 침으로 몇 개의 구멍을 뚫은 뒤에 환부에 올려놓고 그 위에 쑥(艾)을 놓고

뜨는데 환자가 뜨거운 감각을 느낄 때 쑥(艾柱)를 바꾸어 다시 뜬다. 혹은 뜸

자리를 약간 이동하여 계속 뜬다. 국부의 피부가 붉을 정도이면 만족하다.

主治 : 허한성(虛寒性) 통증(痛症)과 마비(麻痹) 등에 사용한다.

격관 (膈關)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46 定位 : 제 7 흉추극돌(胸椎棘突)아래, 左右 三寸.

主治 : 식욕부진(食欲不振), 구토(嘔吐), 애기(呃氣), 척배견강(脊背堅强), 늑 간신

경통(肋間神經痛), 식도경련, 위출혈(胃出血).

臨床 : 척추배강통(脊椎背强痛) - 加 대추(大椎), 견료(肩髎), 천종(天宗).

操作 : 0.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격병구 (隔餠灸) : 간접구(間接灸)로써 질병(疾病)에 따라 부자(附子) 혹은 담두시(淡豆豉) 호초

가루(胡椒粉)를 술에 반죽하여 작은 동전만큼 약떡(葯餠)을 만들어 침으로 중

앙에 구멍을 몇개 뚫고 환부(患部)에 놓은 후 쑥뜸 (艾柱)을 뜬다. 보통 부자

떡을 많이 사용한다.

主治 : 땀(汗)을 많이 흘렸거나 장기간 허약(陽虛)한 사람으로서 맥(脈)이 약(弱)하고

사지(四肢)가 냉(冷)한 증상을 회복시키는 즉 회양구역(回陽救逆)에 사용한

다.

격산구 (隔蒜灸) : 간접구(間接灸)로써 신선한 큰 마늘을 1mm 정도 두께로 썬후 중앙을 침으로

구멍을 몇 개 뚫어서 환처에 올려놓고 그 위에 뜸쑥(艾柱)을 놓아 뜸을 뜬다.

主治 : 외과(外科)의 각종 종기(腫氣) 혹은 폐결핵(肺結核)에 사용한다.

격수 (膈兪)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17 팔회혈(八會穴)의 혈회(血會)

定位 : 제 7 흉추극돌(胸椎棘突) 아래, 左右 1.5 寸.

效能 : 관흉강기(寬胸降氣), 활혈화어(活血化瘀), 리기보허(理氣補虛), 조화 비위

(調和脾胃). - 청허열(淸虛熱), 리허손(理虛損), 화위기(和胃氣). 보법(補法) -

보양음혈(補養陰血), 섭혈지혈(攝血止血). 사법(瀉法) - 거부통락(祛腐通絡),

관격리기(寬膈理氣).

主治 : 위통(胃痛), 위염(胃炎), 식도협착(食道狹窄), 구토(嘔吐)(神經性), 소 화불량

(消化不良), 식소납매(食少納呆), 기천(氣喘), 해수(咳嗽), 토혈 (吐血), 뉵혈

(衄血), 변혈(便血), 폐위장출혈(肺胃腸出血), 조열(潮熱), 도한(盜汗), 빈혈

(貧血), 만성출혈성질환(慢性出血性疾患), 各種 血과 有關되는 病證, 심내

막염(心內幕炎), 심계(心悸), 흉막염(胸膜炎), 늑통(肋痛), 복만(服滿)(腹脹),

풍습성척배통(風濕性脊背痛), 현훈(眩暈) (虛證), 풍습성관절염(痹症), 담마

진(蕁麻疹, 癮疹), 만성기관지염(慢 性氣管支炎), 횡격막경련(橫膈膜痙攣)

(呃逆-딸꾹질)., 담마진(蕁麻疹), 좌창(痤瘡), 소양증(瘙痒症), 대상포진(帶狀

疱疹), 우목(疣目), 과민성자전(過敏性紫癜), 결절성홍반(結節性紅斑), 경종

병(硬腫病), 결체조직병(結締組織病). 식도암(食道癌)의 주요혈위(主要穴

位), 위암(胃癌), 간암(肝癌)의 배 합혈(配合穴).

臨床 : ① 오심(惡心)(메스껍고) 구토(嘔吐) - 加 위수(胃兪) 고황(膏肓),

② 飮食삼키기 困難 - 加 격관(膈關), 려태(慮兌).

③ 혈허(血虛) 빈혈(貧血) - 加 대추(大椎), 비수(脾兪), 혈해(血海), 족삼리

(足三里).

④ 후비(喉痹) - 加 경거(經渠),

⑤ 횡격막경련(橫膈膜痙攣) - 加 천돌(天突), 전중(顫中), 거궐(巨闕), 족삼리

(足三里).

⑥ 빈혈(貧血)- 加 대추(大椎), 위수(胃兪), 혈해(血海), 족삼리(足三 里)를 각

각 配用한다.

操作 : 0.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격염구 (隔鹽灸) : 간접구(間接灸)로써 소금(鹽)을 배꼽에 가득 부어서 펴놓고 그 위에 뜸쑥(艾

柱)을 놓고 연속적으로 증상이 호전 될 때까지 뜬다. 主治 : 허한성 산통(虛寒

性疝痛) 복통(腹痛) 이질(痢疾) 등에 사용한다. 따라 서 회양구역(回陽救逆) 작

용이 있어 땀(汗)을 너무 많이 흘려 양(陽)을 잃어 버려서 맥(脈)이 약하고 사

지(四肢)가 냉(冷)한 사람에게 사용한 다.

견 (肩) : 이혈(耳穴)

定位 : 주상와(舟狀窩) - 6 等分 中 第四와 第五 等分

主治 : 어깨 통증, 견관절 주위염(肩關節周圍炎), 낙침(落枕).

견관절 (肩關節) : 耳穴

定位 : 견혈(肩穴)과 쇄혈(鎖穴) 사이에 있다.

主治 : 어깨통증(肩痛), 견관절주위염(肩周炎), 낙침(落枕).

견내능 (肩內陵) ⇒ 견전 (肩前)

견료 (肩髎)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14 定位 : 견봉(肩峰) 后下面 팔을 外側으로 벌려 平行으로 들고, 견우혈(肩髃 穴) 뒤 1

寸 함요부(陷凹部).

效能 : 산풍해표(散風解表), 소경이절(疏經利節).

主治 : 비통(臂痛), 견중불거(肩重不擧).

現代 : 견관절주위염(肩關節周圍炎), 견관절통(肩關節痛), 다한증(多 汗症), 고혈압

(高血壓), 뇌졸중인기 편마비(偏麻痹).

臨床 : ① 견통(肩痛) - 加 견우(肩髃), 곡지(曲池).

② 비통(臂痛) - 加 천종(天宗), 양곡(陽谷).

③ 견관절주위염(肩關節周圍炎) - 加 투극천(透極泉), 조구투승산 (條口透

承山).

操作 : 0.8~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견삼침 (肩三針) : 肩髃穴 肩髎穴 肩前穴 等 모두 肩部에 있는 穴로 肩病要穴이다.

견양 (見陽) ⇒ 건명 (健明)

견외수 (肩外兪) :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SI-14 定位 : 제 1 흉추극돌(胸椎棘突)아래 도도혈(陶道穴)(督脈) 左右 3 寸.

主治 : 견배통(肩背痛), 항강증(項强症), 상지냉통(上肢冷痛), 견배부산 통(肩

背部酸痛).

臨床 : 견배통(肩背痛) - 加 곤륜(崑崙). 操作 : 0.5~0.8 寸 사자(斜刺).

3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