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기초31 第四章三節 5) - ⑵ 진액의 장부증후
第四章三節 津液(진액) 5) 津液(진액)의 病理現狀(병리현상) ⑵ 津液(진액)의 臟腑證候(장부증후) ① 脾虛濕困證(비허습곤증) 비허습곤을 또한 脾爲濕困(비위습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燥(조)한 것을 선호하는 비 장에 한습이 들어앉으므로 비의...
서선영
16. Dez. 201815 Min. Lesezeit
78 Ansichten
기초30 第四章三節 5) - (1) 진액의 전신증후
第四章三節 津液(진액) 5) 津液(진액)의 病理現狀(병리현상) 津液(진액)의 病理現狀(병리현상)을 全身證候(전신증후)와 臟腑證候(장부증후)로 분류했다. ⑴ 津液(진액)과 全身證候(전신증후) ① 津液虧損證(진액휴손증) 진액휴손증은 인체가 정상적인...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73 Ansichten
기초29 第四章三節 津液(진액)
1) 津液(진액)의 槪念(개념) 2) 津液(진액)의 生成(생성)과 輸送分布(수송분포) 및 排泄(배설) 3) 津液(진액)의 機能(기능) 小結(소결) ⑴ 津液(진액)의 滋養(자양)과 潤滑(윤활) 기능 ⑵ 血液形成(혈액형성) ⑶...
서선영
16. Dez. 201813 Min. Lesezeit
232 Ansichten
기초28 第四章二節 血(혈) 5) 혈적병리현상
第四章二節 血(혈) 5) 血的病理現狀(혈적병리현상) ⑴ 血(혈)의 證候(증후) ① 血虛證(혈허증) 혈허증은 체내에 혈액이 부족하여 몸과 사지와 장부 및 모든 맥이(肢體臟腑百脈) 영양 공 급을 받지 못하게 되는(失于濡養) 전신 성...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69 Ansichten
기초27 第四章二節 血(혈)
1) 血의 槪念 2) 血의 生成 3) 血의 機能 4) 血의 運行 血液(혈액)과 六臟(육장)의 기능 1) 血의 槪念 血(혈)은 붉은 색의 액체상의 물질로서 인체를 구성하고,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기본물질의 하나로 서 유기체가 수요하는 높은...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111 Ansichten
기초26 第四章一節 인체의기 6) 기의 병리현상
6) 氣(기)의 病理現狀(병리현상) 필자가 氣(기)는 쉬지 않고 움직인다고 해서 六行學說(육행학설)에서 氣(기)의 續成(속성)은 움직임 그 자체란 뜻으로 “氣曰動者(기왈동자)”라고 밝힌바 있다. 연유하여 氣(기)의 속성을 분석하고 생리적 기능과...
서선영
16. Dez. 201812 Min. Lesezeit
88 Ansichten
기초25 第四章一節 인체의기 5) 기의 분포와 분류
第四章一節 人体의 氣 5) 氣의 分布와 分類 전반적으로 인체의 氣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선천적인 腎의 精氣(정기 즉 腎精氣(신정기), 稟賦(품부), 脾胃(비위)의 運化(운화)로 산출된 후천적인 水谷(수곡)의 精氣(정기)와 肺의 呼吸(호흡)에...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240 Ansichten
기초24 第四章一節 氣 (인체의 기)
第四章一節 氣 (인체의 기) 1) 氣(기)의 基本槪念(기본개념) 2) 氣(기)의 生成(생성) 3) 氣(기)의 生理機能(생리기능) 4) 氣(기)의 運動(운동)과 運動形態(운동형태) 1) 氣(기)의 基本槪念(기본개념) 기란 고대에 인간이...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147 Ansichten
기초23 第四章 氣, 血, 津液
第四章 氣, 血, 津液(기, 혈, 진액) 氣, 血, 津液(기,혈,진액)이란 각기 다른 성질과 상태 및 기능을 가진 세 가지 물질로써 有機體(유기체)의 臟腑(장부), 經絡(경락) 등 組織器官(조직기관)의 生理活動(생리활동)을 진행시키는...
서선영
16. Dez. 20182 Min. Lesezeit
51 Ansichten
기초22 第三章六節 장과 부의 관계
第三章六節 臟과 腑의 關系 臟(장)과 腑(부)의 관계는 陰陽(음양)의 관계로써 表裏(표리)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臟(장)은 陰(음)으로 裏(리)에 속하며, 腑(부)는 陽(양)으로 表(표)에 속한다. 한편 臟(장)과 腑(부)는 經絡(경락)으로...
서선영
16. Dez. 20188 Min. Lesezeit
52 Ansichten
기초21 第三章五節 육부간의 관계
第三章五節 六腑間의 關系(육부간의 관계) 六腑(육부)는 “음식물을 傳化(전화)하는 것”이 그 생리적 특징인 것과 같이 육부간의 관계는 주로 음식물의 消化(소화), 吸收(흡수), 排泄(배설) 과정에서 긴밀하게 연결되고 서로 배합됨을 나타낸다....
서선영
16. Dez. 20183 Min. Lesezeit
47 Ansichten
기초20 第三章四節 臟과 臟의 關系(관계)
第三章 四節 臟(장)과 臟(장)의 關系(관계) 東醫學(동의학)은 整體觀念(정체관념)으로부터 출발함으로서 有機體(유기체)의 臟腑(장부)와 經絡(경락)을 비롯한 모든 組織器官(조직기관)의 기능 활동은 孤立(고립)되거나 獨立(독립)된 것이 아니라...
서선영
16. Dez. 201828 Min. Lesezeit
133 Ansichten
기초19 第三章三節 장상학설 기항지부
第三章三節 臟象學說(장상학설) 寄恒之府(기항지부) 奇恒之府(기항지부)는 腦, 髓, 骨, 脈, 膽, 女子胞(子宮)(뇌,수,골,맥,담,여자포)(자궁) 등 6개臟器組織(장기조직)을 포함한다. 형태상으로는 모두 속이 비어 있어서 腑(부)와...
서선영
16. Dez. 201811 Min. Lesezeit
265 Ansichten
기초18 第三章二節 장상학설 육부
第三章二節 臟象學說(장상학설) 六腑(육부) 六腑(육부)란 小腸(소장), 大腸(대장), 胃(위), 膵(췌), 膀胱(방광), 三焦(삼초) 등 6개의 腸器(장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六腑(육부)는 水谷(수곡)을 受納(수납)하고,...
서선영
16. Dez. 201813 Min. Lesezeit
237 Ansichten
기초17 第三章一節 장상학설 6장 6.격장
第三章一節 臟象學說(장상학설) 六臟(육장) 6. 膈臟(격장) 6. 膈臟(격장) 膈(격)이란 橫膈膜(횡격막)이다. 胸部(흉부)와 腹部(복부)사이에 胸腹腔(흉복강)을 갈라놓고 心肺(심폐)와 肝(간)을 분계로 橫(횡)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선영
16. Dez. 201810 Min. Lesezeit
56 Ansichten
기초16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육장 5. 腎臟(신장)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육장) 5. 腎臟(신장) 腎臟(신장)은 허리 부위에 척추의 양쪽에 좌우로 하나씩 있다. 생김새가 콩이나 팥과 같다 하여 콩 팥이라고도 한다. “腰(요, 허리)라는 곳은 腎(신)이 깃들어 있는 집이다.” 라고 말하기도...
서선영
16. Dez. 201813 Min. Lesezeit
172 Ansichten
기초15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육장 4. 肝臟(간장)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육장) 4. 肝臟(간장) 肝臟(간장)은 횡격막 바로 아래 오른쪽 옆구리에 자리 잡고 좌측으로 차츰 엷어져서 正中線(정중 선)을 약간 지나자 끝난다. 이와 같이 中焦(중초)에 자리 잡고 있으면서도 간의 기능이...
서선영
16. Dez. 20189 Min. Lesezeit
151 Ansichten
기초14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 3. 脾臟(비장)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육장) 3. 脾臟(비장) 脾臟(비장)은 中焦(중초)의 膈(격)아래 膵(췌)와 胃(위)로부터 왼쪽에 자리 잡고 있는 12 x 8 x 4cm 크기에 150~200g 정도 되는 무게의 臟器(장기)이다. 비장은...
서선영
16. Dez. 201810 Min. Lesezeit
214 Ansichten
기초13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 2. 肺(폐)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육장) 2. 肺臟 肺(폐)는 횡격막위 胸腔(흉강)에 들어 있는 臟器(장기)로서 크게 나누어서 좌우로 한 개씩 둘로 나 누어져있고, 부분적으로는 오른쪽 폐는 上, 中, 下(상,중,하)로 나누어 三葉(삼엽)으로...
서선영
16. Dez. 20189 Min. Lesezeit
113 Ansichten
기초12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육장 1.心(심)
第三章 장상학설 一節 六臟(육장) 第三章一節 六臟(육장) 六臟(육장)은 陰臟(음장)으로써 心, 肺, 脾, 肝, 腎, 膈(심폐비간신격)의 통칭이다. 육장의 생리적인 기능활동을 설명하면서 內臟(내장)이 상호 依存(의존)하고, 制約(제약)하며,...
서선영
16. Dez. 201810 Min. Lesezeit
137 Ansichten

기초11 第二章四節 육행학설 동의학응용
第二章四節 六行學說(육행학설) 東醫學應用(동의학응용) 六行學說(육행학설) 東醫學應用(동의학응용) 六行學說(육행학설)은 매번 학설의 전개에 앞서서 漢醫學(한의학) 基礎理論(기초이론)에 대한 先人(선인) 들의 唯物史觀(유물사관)이 주축이 되어...
서선영
16. Dez. 201822 Min. Lesezeit
169 Ansichten

기초10 第二章三節 육행학설
第二章三節 六行學說(육행학설) 六行學說(육행학설)은 기존의 五行學說(오행학설)안에서 새로이 발견한 一行(일행)을 추가한 것이다. 自然界(자연계)의 모든 事物(사물)은 여섯 가지(六行)이며, 따라서 有機體(유기체)의 臟腑(장부)와...
서선영
16. Dez. 201818 Min. Lesezeit
156 Ansichten
기초 9 第二章二節 음양학설 동의학응용
기초 9 第二章二節 陰陽學說(음양학설) 東醫學應用(동의학응용) 음양학설 동의학응용 음양학설(陰陽學說)은 동의학(漢醫學)의 이론체계를 지배하고 있다. 인체의 조직구조(組織構造), 생 리기능(生理機能), 질병(疾病)의 발생(發生)과 변화(變化)의...
서선영
16. Dez. 201811 Min. Lesezeit
88 Ansichten
기초 8 第二章 음양육행론 第二章一節 음양학설
第二章 陰陽六行論(음양육행론) 第二章一節 陰陽學說(음양학설) 1. 陰陽(음양) 이란 음양(陰陽)이란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로써 음양의 도리에 따라 모든 사물(萬物)을 배태 (胚 胎)시 키고 사멸(死滅)에 이르기까지...
서선영
16. Dez. 20186 Min. Lesezeit
193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