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전승 27 骨空論(골공론)
骨空論(골공론) 본편의 骨空論(골공론)에서는 신체상에 있는 穴位(혈위)와 뼈와 뼈 사이에 있는 틈을 설명하고, 또 皮下(피하)에 있는 것, 肌肉(기육)과 경계선에 있는 것, 五臟六腑(오장육부)를 연락하는 지역을 설명하고, 그 치료적 효과를...
서선영
24. Jan. 20191 Min. Lesezeit
30 Ansichten
전승 26 六十歲運氣의 主客과 民病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1. 子午(자오)의 歲(세) 少陰(소음), 司天(사천), 陽明(양명), 在泉(재천)인데 氣化運行(기화운행)은 先天(선천)이다....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24 Ansichten
전승 25 天地運氣 - 第五章
天地運氣(천지운기) 東醫寶鑑(동의보감) 目次(목차) 第五章(제오장) 1. 六甲年(육갑년) 敦阜(돈부)의 紀(기) -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2. 六丙年(육병년) 漫衍(만연)의 紀(기) - 黃連茯苓湯(황연복령탕) 3. 六戊年(육무년)...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14 Ansichten
전승 24 天地運氣 - 第四章
天地運氣(천지운기) 東醫寶鑑(동의보감) 目次(목차) 第四章(제사장) 22. 標(표)와 本(본) 23. 陰陽(음양)의 交着(교착) 24. 五音(오음)의 大小(대소) 25. 五運(오운)과 紀運(기운) 26. 歲中(세중)과 五運(오운) 27. 南,...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21 Ansichten
전승 23 天地運氣 - 第三章
天地運氣(천지운기) 東醫寶鑑(동의보감) 目次(목차) 第三章(제삼장) 12. 五行(오행)의 生剋(생극)과 順逆(순역) 13. 六氣(육기)의 化(화) 14. 氣候(기후)의 差異(차이) 15. 十干(십간) 16. 十二支(십이지) 17. 四時(사시)와...
서선영
24. Jan. 20199 Min. Lesezeit
26 Ansichten
전승 22 天地運氣 - 第二章
天地運氣(천지운기) 東醫寶鑑(동의보감) 目次(목차) 第二章(제이장) 7. 陰陽(음양)의 氣(기)가 昇降(승강), 盈虛(영허). 8. 天地(천지)와 人體(인체)의 方向(방향) 9. 四方(사방)의 適宜(적의) 10. 地理(지리)에 따라 壽命(수명)의...
서선영
23. Jan. 20194 Min. Lesezeit
20 Ansichten
전승 21 天地運氣 - 第一章
天地運氣(천지운기) 東醫寶鑑(동의보감) 目次(목차) 第一章(제일장) 1, 一元(일원), 十二會(십이회), 三十運(삼십운) 2. 天地(천지)의 形象(형상) 3. 南北極(남북극) 4. 黃道赤道(황도적도) 5. 天地依附(천지의부) 6....
서선영
23. Jan. 20195 Min. Lesezeit
30 Ansichten
전승 20 西江月法 - 8. 陰蹻脈(음교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5 Min. Lesezeit
31 Ansichten
전승 19 西江月法 - 7. 任脈(임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5 Min. Lesezeit
27 Ansichten
전승 18 西江月法 - 6. 陽維脈(양유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4 Min. Lesezeit
29 Ansichten
전승 17 西江月法 - 5. 帶脈(대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4 Min. Lesezeit
25 Ansichten
전승 16 西江月法 - 4. 陽蹻脈(양교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23 Ansichten
전승 15 西江月法 - 3. 督脈(독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 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31 Ansichten
전승 14 西江月法 - 2. 陰維脈(음유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33 Ansichten
전승 13 西江月法 - 1. 冲脈(충맥)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서선영
23. Jan. 20194 Min. Lesezeit
41 Ansichten
전승 12 死期不可刺 (사기불가자)
死期不可刺 (사기불가자) 死期(사기)란 사람이 죽음에 이른 때란 것이다. 이미 병이 깊어서 救命(구명)이 불가능한 때는 침구치료를 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 글은 《靈樞 ․ 病傳篇》에 소개된 것을 정리하여 楊繼洲(양계주)가 개편한...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21 Ansichten
전승 11 雜病穴法歌(잡병혈법가)
雜病穴法歌(잡병혈법가) 雜病穴法歌(잡병혈법가)는 明(명)나라 때 李梃(이정)이 지은 책 醫學入門(의학입문)에서 選集(선집)한 것이다. 1) 雜病(잡병)은 증상에 따라 雜穴(잡혈)에서 선별하여 치료한다. 하지만 要穴(요혈)인 原穴 (원혈),...
서선영
23. Jan. 20195 Min. Lesezeit
108 Ansichten
전승 10 勝玉歌(승옥가)
勝玉歌(승옥가) 楊繼洲(양계주)는 자신의 가문에 대대로 전통되어 오던 穴(혈)의 선택과 배합법을 정리하여 십여년 이상 임상경험을 통해 채득한 心得事項(심득사항)을 책으로 역은 것이다. 元(원)나라 때의 王國瑞(왕국서)가 지은...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61 Ansichten
전승 9 玉龍歌(옥용가)
玉龍歌(옥용가) 옥룡가는 宋(송)나라 때 楊氏(양씨)가 지은 것으로 元(원)나라 때 王國瑞(왕국서)가 편저한 扁鵲神應鍼灸玉龍經(편작신응침구옥룡경) 중에 있던 것이다. 玉龍(옥룡)이란 이름은 唐(당)나라 때 段成式(단성식) 酉陽雜(유양잡)에...
서선영
23. Jan. 20198 Min. Lesezeit
142 Ansichten
전승 8 玉龍賦(옥룡부)
玉龍賦(옥룡부) 玉龍賦(옥룡부)는 명나라 때 高武(고무)가 지은 針灸聚英(침구취영) 중에 있는 내용이다. 이것은 다른 책에 나와 있는 내용을 뽑아 모아 玉龍歌(옥룡가)처럼 편성한 것이다. 여기에는 處方(처방)과 取穴(취혈)의 규율을 표시 했고,...
서선영
23. Jan. 20194 Min. Lesezeit
105 Ansichten
전승 7 五運主病歌와 六氣爲病歌
五運主病歌(오운주병가)와 六氣爲病歌(육기위병가) 五運主病歌(오운주병가) 본편은 醫經小學(의경소학)에서 나온 것으로 明(명)나라 때에 咸寧懸(함영현) 사람 景厚(경후) 劉純(유순)의 저서이다. 내용은 內經(내경)《素問 ․ 至眞要大論》중에 근거를...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39 Ansichten
전승 6 자금론(刺禁論)
자금론(刺禁論) 침을 잘못 찌르면 내장(內臟)과 기관(器官)을 손상(損傷)시키게 됨으로 생리적 이상과 나아 가 생명에 영향을 주는 사고를 피면(避免)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해부학 적 지식을 바탕으로 금침혈(禁針穴)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黃帝 -...
서선영
23. Jan. 20193 Min. Lesezeit
18 Ansichten
전승 5 사시취혈 (四時取穴)
사시취혈 (四時取穴) 1. 針灸大成解釋 봄(春) :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의 사이를 취(取)한다. 여름(夏) : 주리(腠理)를 取한다. 가을(秋) : 수혈(兪穴) - 사음사(瀉陰邪), 사양허사(瀉陽虛邪) - 합혈(合穴)을 취하고, 겨울(冬)...
서선영
23. Jan. 20192 Min. Lesezeit
28 Ansichten
전승 4 자극량 (刺戟量)
자극량 (刺戟量) 침자 방법으로서 자시 針의 일정한 깊고 낮음의 자극량(刺戟量)을 말하는 것으로 침구대성(針灸大成)에서는 자제(刺齊)라 하는데 이는 齊가 劑의 뜻이 있기 때문이다. 침치료(針治療)에 있어서 그 수기(手技)의 質과 量이 중요하므로...
서선영
23. Jan. 20192 Min. Lesezeit
24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