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che
전승 51 難經(난경)
難經(난경) 【針灸甲乙經(침구갑을경)】을 지은 黃甫謐(황보밀)은 말하기를「黃帝(황제)의 命(명)에 의하여 雷公(뢰공)과 岐伯(기백)이 經脈(경맥)을 論(론)한 것 중에서 어려운 문구를 81 難經(난경)에서 通(통)하게 하였다」고 한다....
서선영
24. Jan. 201910 Min. Lesezeit
55 Ansichten
전승 50 十二經井穴圖(십이경정혈도)
十二經井穴圖(십이경정혈도) 楊繼洲(양계주)가 編著(편저)한 내용이다 ⑴ 사람이 病(병)으로 膨脹(팽창 : 부은 것), 喘息(천식)과 咳嗽(해수), 缺盆穴(결분혈) 부근이 아 프며, 心煩(심번)과 손바닥에 열이 있으며, 肩背痛(견배통),...
서선영
24. Jan. 20196 Min. Lesezeit
26 Ansichten
전승 49 楊繼洲의 問答 III
楊繼洲(양계주)의 問答(문답) III (22 - 36) 22. 陽(양)을 찌를 때는 臥針(와침)으로 刺(자)하고, 陰(음)을 찌를 때는 누르면서 陽(양)을 散 (산)하며 內針(내침)함을 묻는다. 陽部(양부)를 찌른다는 것은 얕게 찌르는...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17 Ansichten
전승 48 楊繼洲의 問答 II
楊繼洲(양계주)의 問答(문답) II (10 - 21) 10. 迎隨(영수)의 이치에 대해서 묻는다. 迎隨(영수)는 針尖(침끝)에서 그 힘을 뺏는 것이다. 第一(제일)로 중요한 것은 榮血(영혈)과 衛氣(위기)의 流行(류행)이다. 모든...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16 Ansichten
전승 47 楊繼洲의 問答 I
楊繼洲(양계주)의 問答(문답) I 1 - 9 1. 奇經八脈(기경팔맥)이란 어떤 것인가? 問 : 難經(난경)에 말하기를 脈(맥)에 奇經八脈(기경팔맥)이 있는 바 十二正經(십이정경)의 구 속을 받지 아니하는데 왜 그런가? 答 :...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20 Ansichten
전승 46 금침혈 (禁針穴)
1. 금침혈 (禁針穴) 금침(禁針) 및 침(針)을 놓되 신중(愼重) 하라는 뜻이다. 〔가나다 순〕 견정(肩井), 결분(缺盆), 구미(鳩尾), 기문(箕門), 기충(氣冲), 뇌호(腦戶), 락각(絡却), 복토(伏 兎), 삼양락(三陽絡),...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29 Ansichten
전승 45 禁灸穴歌(금구혈가)
禁灸穴歌(금구혈가) ① 啞門穴(아문혈) - 督脈(독맥) : 后髮際入五分(후발제입오분) 灸(구)하면 啞(아,벙어리)가 된 다. ② 風府穴(풍부혈) - 督脈(독맥) : 后髮際(후발제) 入一寸(입일촌). 灸(구)하면 失音(실음)한다. ③...
서선영
24. Jan. 20192 Min. Lesezeit
25 Ansichten
전승 44 禁鍼穴歌(금침혈가)
禁鍼穴歌(금침혈가) 鍼(침)을 놓아서는 안 되는 穴處(혈처)를 말한다. 다만 古傳(고전)이므로 참고할 뿐이다. ① 腦戶(뇌호) - 督脈(독맥) : 外后頭隆起(외후두융기)의 上陷中(상함중) 【素問(소문)】針(침)이 腦(뇌)에 들어가면 즉시 죽은다....
서선영
24. Jan. 20193 Min. Lesezeit
33 Ansichten
전승 43 下手八法口訣 및 生成數
下手八法口訣(하수팔법구결) 및 生成數(생성수) 下手八法口訣(하수팔법구결) 揣(췌) : 췌는 요량해서 穴(혈)을 찾는 것이니 穴(혈)을 정할 때에 손으로 그 자리를 눌러가 면서 陽部位(양부위)이면 筋骨(근골)옆에 오목한 자리가 眞穴(진혈)이고,...
서선영
24. Jan. 20192 Min. Lesezeit
13 Ansichten
전승 42 三衢楊氏 補法
三衢楊氏 補法(삼구양씨 보법) 十二字分次第手法及歌(십이자분차제수법급가) 三衢楊氏(삼구양씨) 補法(보법) 十二字分次第手法及歌(십이자분차제수법급가) 1. 爪切(조절, 손톱으로 누르다) 針(침)을 찌를 때에 左手(좌수)의 엄지손톱으로 針(침) 놓을...
서선영
24. Jan. 20198 Min. Lesezeit
30 Ansichten
전승 41 南豊李氏補瀉(남풍이씨보사)
南豊李氏補瀉(남풍이씨보사) (醫學入門(의학입문)의 著者(저자) 圖註難經(도주난경)에 이르기를 - 手三陽經(수삼양경, 大腸, 三焦, 少陽經)은 손에서 머리로 흐른다. 針(침)끝이 손에서 머리로 향하게 하는 것이 隨(수)이고, 針(침)끝이 머리에서...
서선영
24. Jan. 201916 Min. Lesezeit
29 Ansichten
전승 40 神應經補瀉(신응경보사)
神應經補瀉(신응경보사) 瀉訣直說(사결직설) 宏綱陳氏(굉강진씨)가 이르기를, 穴(혈)을 바르게 잡았으면 左手(좌수)의 엄지손가락으로 그 穴(혈)을 흔들어 비비고, 右手(우수)는 針(침)을 잡고 患者(환자)로 하여금 큰 기침을 하게 하면서 기침에...
서선영
24. Jan. 20192 Min. Lesezeit
19 Ansichten
전승 39 四明高氏補瀉(사명고씨보사)
四明高氏補瀉(사명고씨보사) 素問(소문)의 補腎兪註(보신유주)에 이르기를 圓利針(원리침)을 가지고 針(침)놓을 때에 주문을 세 번 암송한다. 「五帝土眞(오제토진), 六甲玄靈(육갑현령), 氣苻至陰(기부지음), 百邪閉理(백사폐리)」그런 다음에 먼저...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15 Ansichten
전승 38 難經補瀉(난경보사)
難經補瀉(난경보사) 黃帝(황제)가 묻기를「經(경)에 말하기를 虛(허)하면 補(보)하고, 實(실)하면 瀉(사)하되, 實(실)하지도 않고 虛(허)하지도 않으면 해당 經脈(경맥)을 찌르기만 하면 된다는 것은 왜 그런가?」 岐伯(기백)이...
서선영
24. Jan. 20195 Min. Lesezeit
22 Ansichten
전승 37 內經補瀉(내경보사)
內經補瀉(내경보사) 본편은 黃帝內經(황제내경) 素問(소문)과 靈樞(령추) 중에서 補瀉(보사)의 원칙과 보사해야할 症狀(증상), 補瀉(보사)의 조작법을 설명한 것으로 이것을 內經補瀉(내경보사)라고 이름하였다. 黃帝(황제)가 말하기를 「내가 듣기로는...
서선영
24. Jan. 201919 Min. Lesezeit
43 Ansichten
전승 36 策(책)
策(책) 본편은 楊承學氏(양승학씨)가 針灸學(침구학)의 原理(원리)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이다. 〈問〉 사람의 몸은 天地(천지)와 같아서 天池(천지)의 氣運(기운)이 항상 순조로울 수 없어 범위의 변화대로 따르며, 사람 몸의 가운도 항상...
서선영
24. Jan. 201911 Min. Lesezeit
21 Ansichten
전승 35 肘後歌(주후가)
肘後歌(주후가) 본편은 針灸聚英(침구취영)에서 나온 것이다. 針灸聚英(침구취영)은 明(명)나라 嘉靖年(가정년)에 四明高武(사명고무)가 지은 것이다. 내용은 수많은 特效穴(특효혈)을 정리하여 藥性(약성)과 함께 그 穴(혈)의 효능을 정리한 것으로...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74 Ansichten
전승 34 馬丹陽天星十二穴治雜病歌
馬丹陽天星十二穴治雜病歌(마단양천성십이혈치잡병가) 本歌(본가)는 金元時代(금원시대)의 進士(진사) 馬丹陽(마단양)의 著作(저작)으로서 十二個穴(십이개혈)을 사용하여 치료되는 각종질병을 설명하고 있다. 三里(삼리), 內庭穴(내정혈),...
서선영
24. Jan. 20193 Min. Lesezeit
59 Ansichten
전승 33 長桑君天皇秘訣歌
長桑君天皇秘訣歌(장상군천황비결가) 長桑君天皇秘訣歌(장상군천황비결가) 史記(사기) 扁鵲傳(편작전)에 말하기를 長桑君(장상군)이 扁鵲(편작)에게 鍼術(침술)의 방법을 전했다고 한다.天皇(천황)의 秘訣(비결)에 관하여 사람들이 그 방법을 조금은 알고...
서선영
24. Jan. 20192 Min. Lesezeit
26 Ansichten
전승 32 雜病十一穴歌 및 四總穴歌
雜病十一穴歌(잡병십일혈가) 및 四總穴歌(사총혈가) 雜病十一穴歌(잡병십일혈가) 및 四總穴歌(사총혈가) 본문은 針灸聚英(침구취영)에서 나온 것이다. 針灸聚英(침구취영)은 明(명)나라 때에 高武(고무)가 쓴 책이다. 내용은 雜病(잡병)에 쓰이는...
서선영
24. Jan. 20193 Min. Lesezeit
82 Ansichten
전승 31 巨刺論 및 經刺論
巨刺論(거자론) 및 經刺論(경자론) 巨刺論(거자론) 巨刺(거자)는 經脈(경맥)을 찌르는 것이고, 繆刺(무자)는 絡脈(락맥)을 찌르는 것이다. 때문에 시술에 앞서 巨刺(거자)와 繆刺(무자)를 잘 분별하여 應用(응용)해야 하는 것이다. 岐伯(기백)은...
서선영
24. Jan. 20192 Min. Lesezeit
24 Ansichten
전승 30 繆刺論(무자론)
繆刺論(무자론) 본편에서는 邪氣(사기)가 絡經脈(락경맥)과 絡脈(락맥)에 머물렀을 때와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邪氣(사기)가 絡脈(락맥)에 있을 때에는 絡脈(락맥)에까지 아직 病(병)을 받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때는 락맥을...
서선영
24. Jan. 20197 Min. Lesezeit
38 Ansichten
전승 29 調經論(조경론)
調經論(조경론) 한가지의 病(병)이 있을 때 虛實(허실)을 分別(분별)하고 針灸(침구)로 치료해서 허실의 차이를 조절하여 調和(조화)와 平衡(평형)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 침구학의 본론이다. 본편에서는 虛實(허실)을 명확히 설명하고 그 원인과...
서선영
24. Jan. 20195 Min. Lesezeit
17 Ansichten
전승 28 刺水熱穴論(자수열혈론)
刺水熱穴論(자수열혈론) 본편을 素問(소문)에서는 水熱穴論(수열혈론)이러고 한다. 본병에 대해서 病理(병리)를 설명하고 물이 빠지게 하는 針法(침법)을 설명하여 刺水熱穴論(자수열혈론)이라고 한 것이다. 黃帝(황제)가 묻기를「少陰(소음)이 어떻게...
서선영
24. Jan. 20194 Min. Lesezeit
27 Ansichte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