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暑(중서) 外感病(외감병)
1. 槪述(개술)
中暑(중서)는 무더운 여름철에 人体(인체)가 暑熱(서열)을 感受(감수)로 인한 急性熱病(급
성열병)으로서 高熱(고열), 汗出(한출), 昏厥(혼궐), 抽縮(추축) 등을 위주로 主要臨床表現
(주요임상표현)을 하며 頭暈(두운), 頭痛(두통), 心慌(심황), 惡心(오심), 汗出(한출)등 부분
적으로 비교적 輕(경)한 病例(병례)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本病(본병)은 暑熱(서열)을 위주로 하며 여름철에 발생하는 夏季(하계) 常見的(상견적) 疾
病(질병)이다. 夏節期(하절기)에는 무더운 天氣(천기)가 내려 쪼이고(天暑下逼), 대지의
濕(습)이 上蒸(상증)하는 때에 그 중에 거처하는 사람이 만약 태양아래 노동을 하게 된다
면 대량의 正氣(정기)를 耗傷(모상)하거나 혹은 먼 길을 걸어(長途跋涉), 有機体(유기체)
가 暑熱(서열)에 乘襲(승습)되거나 혹은 暑濕(서습)에 傷(상)하게 됨으로 中暑(중서)가 발
병하게 되는 것이다.
暑(서)는 陽邪(양사)이고, 성질은 開泄(개설)하며, 쉽게 傷氣耗津(상기모진)하고, 內犯心
包(내범심포)하는 고로 中暑(중서)를 治療(치료)에 임해선 淸心開竅(청심개규)하며 益氣
生津(익기생진)을 基本原則(기본원칙)으로 한다. 또한 暑(서)에는 濕(습)이 많은데(暑多挾
濕), 暑濕(患者(서습환자)가 悠悠自適(유유자적) 疾患(질환)을 느끼지 못하고, 또한 小便
(소변)이 淸利(청리)하면 이는 濕熱邪氣(습열사기)가 小便(소변)을 따라 배출된 것이니 이
를 所謂(소위) “治暑之法淸心利小便最好(치서지법청심이소변최호)”라 한다.
2. 病因病機(병인병기)
中暑(중서)는 여름에 발생하는 일종에 급성질병이다. 무더운 여름에 고온다습(高溫多濕)
한 환경 혹은 뜨거운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중서가 발생된다. 輕重(경중)에 따라 증상이
각이 한데 머리가 어지럽고(頭暈), 頭痛(두통), 懊憹(오농), 嘔惡(구오)한 자는 傷暑(상서)
라 부르고, 갑자기 昏倒(혼도)한 자는 暑厥(서궐)이라 부르며, 風(풍)을 이루는 자는 暑風
(서풍)이라 부른다.
中暑(중서)의 발생은 대부분 체질의 허약으로 暑熱(서열) 혹은 暑濕(서습)의 氣(기)가 인
체를 침습하여 상한 것이다.
輕證者(경증자) : 暑邪(서사)가 인체의 肌表(기표)를 鬱滯(울체)하여 表衛(표위)가 서로 소
통되지 못하게 됨으로(失和), 땀이 밖으로 잘 나갈 수 없고(汗出不暢), 邪
熱(사열)이 밖으로 나갈 수 없기(邪熱不得外泄) 때문에 몸에는 열이 나고(身熱), 머리가
아프며(頭痛), 머리가 어지럽고(頭暈), 땀이 적게 나는(少汗)등 증상이 나타난다. 暑氣(서
기)의 열과 습이 안에 쌓이게(暑濕內蘊)되어 비와 위가 서로 조화롭지 못하면(脾胃不和)
속이 울렁거리고(惡心), 嘔吐(구토)하고, 음식을 먹으면 곧 토하게 되고(納呆), 懊憹(오농)
등 증상이 나타난다.
重證者(중증자) : 暑邪(서사)가 体表(체표)로부터 里(리)에 침습하게 됨으로 邪熱(사열)의
기세가 몹시 성(熾盛)하게 되면 계속하여 膈(격)을 침범하고 心竅(심규)
를 덮어씌우게(蒙蔽) 됨으로 高熱(고열)이 나고, 정신을 일고 쓰러져(혼도), 사지를 쭉 뻗
고 부들부들 떠는(抽畜)등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暑熱(서열)의 기세가 성하며(熾盛) 기와 음이 모두 말라버리게 되면(氣陰兩竭) 구슬
같은 땀을 흘리게 되고, 호흡이 짧고 급하며(短促), 얼굴색은 창백하고, 팔다리(四肢)는
冷(냉)해 지며, 맥은 脈微(미맥)이고 끊어지려(欲絶)하는 등 虛脫證狀(허탈증상)이 나타나
는데 이는 위험한 현상이다.
3. 辨證要点(변증요점)
1) 辨病史(변병사)
中暑患者(중서환자)는 均一(균일)하게 강열한 태양아래(烈日下), 高溫環境(고온환경)
에서 과도한 작업을 하거나 혹은 이러한 天氣(천기)에도 먼 길을 걸어간(長途行走) 病
史(병사) 등은 본병진단에 극히 중요한 端緖(단서) 이다.
2) 辨神色(변신색)
中暑患者(중서환자)의 面部(면부)의 色(색)은 대체로 晦黯(화암)하고, 양쪽 눈빛이 멍
하게 정신이 들지 않았으며(双目无神), 皮膚(피부)는 광택과 탄력성이 없는 것을 소위
面垢(면구)하다고 하는데 이는 씻지 않아 더럽고 구질구질한 형상을 말한다.
3) 辨陰陽(변음양)
中暑(중서)의 본질은 熱病(열병)으로써 그 性(성)은 陽(양)에 屬(속)한다. 그러나 이 陽
(양) 중에 또한 陰陽(음양)이 있다. 즉 中暑(중서)에는 陽證(양증)과 陰證之分(음증지
분)이 있다.
① 屬中暑之陽證(속중서지양증) ; 身熱頭痛(신열두통), 煩躁大渴(번조대갈), 大汗(대
한), 脈洪滑(맥홍활),喜冷飮(희냉음),大便干結(대변간결),小便赤痛者(소변적통자),
② 屬中暑之陰證(속중서지음증) 脈虛无力(맥허무력), 혹은 惡寒背寒(오한배한)하거
나, 혹은 嘔惡(구오)하거나, 혹은 腹痛泄瀉(복통설사), 혹은 四肢鼻尖微寒(사지 비
첨 미한)하거나, 혹은 不喜冷飮(불희냉음), 혹은 息促氣短者(식촉기단자)는 中暑
(중서)의 陰證(음증)에 屬(속)한다.
4) 辨脈象(변맥상) 中暑(중서)의 脈(맥)은 대체로 虛象(허상)으로 나타나는데 다만 弦, 細
芤, 遲(현, 세, 규, 지) 等脈(등맥)을 겸할 수가 있다.
4. 類證鑒別(류증감별)
1) 暑溫(서온)
中暑(중서)와 暑濕(서습)은 暑邪(서사)로 引起(인기)된 疾患(질환)이다. 臨床表現(임
상표현)은 모두 高熱昏痙(고열혼경)을 나타내다. 다만 中暑的(중서적) 발병이 몹시
急驟(급취)하며 병이들면 高熱昏厥(고열혼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뜨거운 太陽(태
양)이 내려 쪼이는 무더운 환경에서 노동을 하거나 혹은 遠行的(원행적) 病史(병사)
를 겸유한다. 暑溫初起(서온초기)에 氣分證候(기분증후)를 많이 볼 수 있으며 高熱
昏厥(고열혼궐)은 發展(발전)하는 演變過程(연변과정)에 많이 있는 증후이다.
2) 中風(중풍)
中暑(중서)와 中風(중풍)은 모두 卒然昏倒(졸연혼도), 不省人事(불성인사)가 가능하
다. 다만 中暑(중서)는 曝陽(폭양) 疾行(질행)으로써 高溫(고온) 勞作的(노작적) 病史
(병사)를 나타내며 發病時(발병시) 高熱(고열) 汗出(한출)하고, 胸悶嘔惡(흉민구오)
하며, 甚至於(심지어) 昏不知人(혼불지인), 人事不省(인사불성)하고 肢体强直(지체
강직), 角弓反張(각궁반장), 抽縮(추축) 等症(등증)이 가능하나 口眼喎斜(구안괘사)
는 없다. 中風(중풍)은 平素(평소)에 五志(오지)가 過極(과극)하여, 暴怒(폭노), 飽食
(포식), 勞累(노루)로 일에 묶여 살거나, 술(酒)을 먹고 난 뒤 發病(발병)하는데 일반
적으로 發病時(발병시) 高熱汗出(고열한출), 胸悶嘔惡(흉민구오) 等症(등증)은 없으
나 昏倒(혼도)한 후에 口眼喎斜(구안괘사), 半身不遂(반신불수) 等症(등증)을 볼 수
있다. 中暑(중서)와 中風(중풍) 양자를 감별하기 어렵지 않으며 中暑(중서) 과정 중에
혹시 또한 中風(중풍)의 幷發(병발)은 不可不愼(불가불신)이다.
3) 痙證(경증)
中暑(중서)와 痙證(경증)은 모두 神昏抽縮(신혼추축), 角弓反張(각궁반장) 등증을 나
타낸다. 中暑者(중서자)의 先兆症狀(선조증상)으로는 乏力頭昏(핍력두혼), 胸悶口
渴(흉민구갈), 出汗較多(출한교다), 繼則(계칙) 体溫升高(체온승고), 惡心嘔吐(오심
구토), 以后(이후) 昏迷抽縮(혼미추축), 進食鹽水(진식염수) 可緩解病情(가완해병
정). 痙證(경증)은 烈日(열일), 曝晒(폭쇄)와 같은 灼熱(작열)하는 太陽(태양)이 내리
쪼이는 高溫環境(고온환경)에서 作業(작업)에 의한 病史(병사)가 아니라 起病(기병)
에서 惡寒發熱(오한발열)의 表證(표증)이 있을 수 있고, 혹은 發汗過多(발한과다)로
인한 혹은 기타 傷粍津液(상모진액)적 疾病(질병)의 誘發(유발)로, 臨床表現(임상표
현)에 四肢抽縮(사지추축), 角弓反張(각궁반장), 口噤(구금) 等症(등증)을 爲主(위주)
로한다. 進食鹽水无效(진식염수무효)
5. 辨證論治(변증론치)
1) 輕證 : 暑邪(서사)가 肌表(기표)를 가로막아(鬱滯) 表衛(표위)가 서로 소통되지 못함
으로(失和) 땀이 잘 나오지 못하고(汗出不暢) 사열을 밖으로 배설할 수 없기(邪
熱不得外泄) 때문에 몸에 열이 나고(身熱), 頭痛(두통)이 생기고, 머리가 어지
러우며(頭暈) 땀이 적고(少汗),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갈증으로 괴로워하며
(煩渴), 게을러지고 잠잘 생각만 하게 된다(倦怠思睡). 설태는 희고 찐득찐득하
며(舌苔白膩), 맥은 유삭(脈濡數)하다. 서사가 안에 싸여(署內蘊) 비위가 조화
롭지 못하면(脾胃不和) 속이 울렁거리고(惡心) 嘔吐(구토)하고, 음식을 먹으면
속히 토하게(納呆)되고 懊憹(오농) 등 증상이 나타난다.
原則 : 체표의 서사를 해제하고(解表淸署) 비위를 조화롭게 하고 습사를 제거한다(和
中化濕). - 督脈(독맥) 手足陽明(수족양명)과 膈經(격경, 心包經).
處方 : 大椎(대추), 合谷(합곡), 陷谷(함곡),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方義 - ① 大椎穴(대추혈) : 督脈經穴(독맥경혈)에 속하고 인체의 모든 陽(양)이 모이
는 곳(諸陽之會)이며
② 陷谷(함곡), 合谷(합곡)과 배합하여 막힌 위를 통하게 하고(疏泄陽明(소설
양명) 체표에 울체된 서사를 해제(解表淸暑)한다.,
③ 內官穴(내궁혈) : 陰維脈(음유맥)을 통해 腹部(복부)속으로 들어가 胃(위),
心(심), 胸部(흉부)에 분포되고,
④ 足三里(족삼리)와 배합해서 비위를 조화롭게 하고 濕邪(습사)를 제거하며
(和中化濕), 기를 보태어 正氣(정기)를 補(보)해(益氣扶正)
暑邪(서사)가 속으로 侵犯(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萬若 - ① 頭痛(두통)이 甚(심)하면 : 加 頭維(두유) - 통증을 멎게(止痛) 하고
② 嘔吐(구토)가 甚하면 : 加 中脘(중완) - 비위를 조화롭게 하여 구토를 멎게
(和中止嘔)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直刺(직자)하며 瀉法(사법)을 쓴다.
2) 重證 : 暑邪(서사)가 体表(체표)에서 里(리)로 內傳(내전)되어 膈(격, 心胞)을 침범하고
心竅(심규)를 덮어씌우며(蒙蔽), 몸에는 열이 성한데 땀이 나지않으며(壯熱无
汗) 정신이 미혹(昏迷)하여 쓰러지고(昏倒), 살갗은 불로 지지듯 뜨겁고(肌膚
灼熱), 입과 입술은 건조(口乾脣燥)하며, 얼굴과 눈이 붉고(面紅目赤), 갈증이
자주 나고 물을 많이 미시며(煩渴多飮)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煩躁不安)하며,
근육이 경련으로 당기(抽畜)고, 미친 지랄병(瘈瘲), 설질이 붉고(舌質紅赤), 진
액이 적으며(少津) 설태는 두텁고 끈적 끈적(舌苔黃厚膩)하며, 맥은 홍삭(脈洪
數)하다.
嚴重者 : 땀은 많이 흘리며(大汗出), 얼굴색이 창백(面色蒼白)하고, 호흡은 짧고 급하
며(呼吸短促), 팔다리가 말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四肢厥冷), 정신은
혼미(昏迷)하고, 설질이 진한 빨간색(舌質紅降)에 태는 적으며(苔少), 맥은
미삭(脈微數)하다.
原則 : 서열을 제거하고(淸泄署熱) 정신을 차리게(開竅醒腦)한다.
- 督脈(독맥), 十宣穴(십선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百會(백회) 人中(인중), 十宣(십선), 曲澤(곡택), 委中(위중), 曲池(곡지).
方義 - ① 百會(백회), 人中(인중) : 淸熱(청열), 醒腦(성뇌), 開竅(개규)하고.,
② 曲池(곡지), 十宣(십선) : 蘇厥止痙(소궐지경)한다.,
③ 曲澤(곡택) : 手厥陰(수궐음)의 合穴(합혈)이고,
④ 委中(위중)은 足太陽(족태양)의 合穴(합혈)인데
⑤ 그 浮絡(부락)을 삼능침으로 点刺(점자)해서 출혈하여 營血(영혈)의 暑熱
(서열)을 瀉(사)한다.
萬若 - ① 虛脫者(허탈자) : 神闕(신궐), 關元(관원)에 신속히 뜸(灸)을 떠서 - 양기를 회
복하고 굳건하게 하여 탈증의 위험으로부터 구 한다(回陽固脫救逆).
② 抽縮(추축), 瘈瘲(계종) 환자 : 加 陽陵泉(양능천) - 筋이 쫄아 드는 것을 緩和
(완화)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針刺(침자)하여 瀉法(사법)을 使用한다.
十宣(십선), 曲澤(곡택)은 三陵針(삼능침)으로 點刺出血(점자출혈)하고
땀을 흘리고 팔다리가 차고(汗出肢冷), 맥은 미하고 끊어질듯 한(脈微欲絶) 환
자는 급히 神闕(신궐) 關元(관원)에 뜸(灸)을 뜬다.
3) 耳針(이침)
耳穴 : 神門(신문), 皮質下(피질하), 交感(교감), 心(심), 腎上腺(신상선), 枕(침),
耳尖(이첨, 放血)
4. 針灸(침구)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手少陰心經 : 少冲(소충,井).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合,血郄).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勞宮(노궁,滎), 中冲(중충,井).
督脈 :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水泃(수구).
頭頸部奇穴 : 內迎香(내영향).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2) 体針(체침)
取穴 : 合谷(합곡), 曲池(곡지), 大椎(대추).
方解 : ① 大椎穴(대추혈) : 解表淸熱(해표청열), 退熱之主穴(퇴열지주혈)
② 曲池(곡지), 合谷穴(합곡혈) : 淸氣解暑(청기해서), 疏表淸熱(소표청열).
加穴 : ① 若熱盛動風者(약열성동풍자) 可加 百會(백회), 人中(인중),少商(소상), 委
中(위중).- 息風定縮(식풍정축).
② 若熱陷心包(약열함심포), 神昏者(신혼자) 加刺 水溝(수구),素髎(소료), 湧
泉(용천),曲澤(곡택).- 開竅醒神(개규성신)
3) 刺絡(자락)
取穴 : 十宣(십선), 曲澤(곡택), 大椎(대추), 委中(위중), 金津(금진), 玉液(옥액).
施術 : 常見(상견) 消毒后(소독후), 三陵針(삼능침) 点刺防血(점자방혈).
4) 皮膚針(피부침)
症候 : 中暑輕症(중서경증)
取穴 : 脊柱兩側(척주양측) 穴位(혈위), 重点(중점) 叩打(고타) 背部(배부),腰部(요부),
별도로 팔꿈치 즉 肘窩(주와)를 叩打(고타)한다. 혹은 脊柱兩側(척주양측), 項
背(항배)를 중점으로 叩打(고타)하고, 骶部 (저부) 尾骨(미골) 부위 및 三陰交
(삼음교), 內關(내관), 足三里穴(족삼리 혈)등과 水溝穴(수구혈)에서 点刺防血
(점자방혈)하는데 이는 重症(중증) 일때 應用(응용)한다.
5) 針劑(침제)
⑴ 適用 : 中暑陽證(중서양증), 津傷較甚者(진상교심자)
葯劑 : 17% 生津注射液(생진주사액) ≒ 麥冬(맥동), 沙參(사삼), 石斛(석곡), 蘆根
(로근), 桑葉 (상엽).
功能 : 淸熱生津(청열생진)
施術 : 每日(매일) 500∼2000 毫升(호승), 靜脈滴注(정맥적주)
⑵ 適用 : 暑熱動風證(서열동풍증)
葯劑 : 淸開靈注射液(청개령주사액)
≒ 牛黃(우황), 水牛角(수우각), 黃芩(황금), 梔子(치자).
功能 : 淸熱解毒(청열해독), 鎭痙安神(진경안신).
施術 : 每次(매차) 20∼40 毫升(호승), 加(가) 10% 葡萄糖液(포도당액) 300 毫升
(호승), 靜脈滴注(정맥적주).
5. 臨床應用(임상응용)
1) 더위 먹은 증상 : 高熱(고열)
足陽明胃經 : ① 足三里(족삼리), 百會(백회), 水泃(수구), 太冲(태충).
② 廬兌(려태), 百會(백회), 水泃(수구), 中冲(중충).
手少陰心經 : 少冲(소충), 水泃(수구).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 十宣(십선), 人中(인중).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委中(위중)에 點刺出血(점자출혈).
督脈 : ① 水泃(수구), 十宣(십선), 委中(위중, 出血).
② 水泃(수구), 十宣(십선), 湧泉(용천), 委中(위중).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大椎(대추), 耳尖(이첨).
2) 處方 : ① 人中(인중), 百會(백회), 印堂(인당).
② 人中(인중), 內關(내관), 十宣(십선). - 中醫 -
6. 辨病取穴(변병취혈)
1) 여름에 더위를 먹어 스스로 熱(열)이 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하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陰谷(음곡), 百勞(백노), 中脘(중완), 委中(위중), 氣海 (기해), 陰陵泉穴
(음능천혈)에 針刺(침자)한다.- 西江月
2)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있고 癨亂(곽란)으로 吐(토)하고 泄瀉(설사)한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삼성),
合谷穴(합곡혈)에 針刺(침자)한다.- 西江月 -
3) 여름에 더위를 먹어 스스로 熱(열)이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할 때 - 西江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陰谷(음곡),百勞(백노),中脘(중완),委中(위중),氣海(기해),陰陵泉(음능천)
4)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나고, 癨亂(곽란)으로 구토 설사할 때.- 西江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삼성)?,
合谷(합곡).
5) 中暑(중서)
見症 : 심장이 약하고(心弱), 頭痛(두통), 惡寒(오한), 팔다리 관절이 아프며(肢節痛),
마음이 괴롭고(心煩), 虛弱(허약)한 경우
處方 : ①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보), 然谷(연곡) 少海(소해) 曲澤(곡택) 瀉(사)한다.
② 中渚(중저) 補(보), 曲澤(곡택) 瀉(사).- 舍岩
가감 - 심장이 허약한 환자(心虛弱者) : 心正方(심정방) 특효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暑(서)는 六氣(육기)의 하나로써 夏月(하월)은 相火(상화)의 行令(행령)인 지
라 사람으로 하여금 그 氣(기)를 感(감)하면 口齒(구치)로부 터 肺, 胃(폐,위)
에 入(입)하여 흔히 身熱(신열), 汗出而喘(한출이천), 煩渴(번갈), 多言(다언), 倦怠少
氣等證(권태소기등증)을 見(견)하며 혹은 下血(하혈), 發黃(발 황), 生班(생반)하고 만
일 心包(심포)에 侵入(침입)하여 血脈(혈맥)에 흩어져가 지고 腦(뇌)에 들어가면 四肢
축溺(사지축닉), 不省人事(불성인사) 등 증을 訴 (소)한다. 脈狀(맥상)으로 말하면《內
經》에는 脈虛身熱(맥허신열)로써 傷暑(상 서)라 하고 《金匱》에는 弦, 細, 芤, 遲(현,세,
규,지)로 傷暑(상서)라 했다. 大槪 (대개)가 暑(서)는 氣(기)를 傷(상)하고 形(형)을 傷
(상)하지 않으므로 氣(기)가 消(소)하면 脈(맥)이 虛弱(허약)함으로써 일 것이다.
大抵(대저) 脈(맥)이 오기 를 虛大無力(허대무력) 혹은 小弱(소약)한 것은 모두 中氣
(중기)가 本虛(본허) 함인데 傷暑(상서)는 不足(부족)의 證(증)이 되는 것이므로 만일
洪盛(홍성), 數 疾(삭질)의 脈(맥)을 得(득)하면 모두 時邪(시사)의 熱病(열병)을 感受
(감수)한 有餘證(유여증)이 되며 만일 脈(맥)이 沉, 緊(침,긴)하다면 傷寒冷(상한냉) 및
中 寒(중한)의 本脈(본맥)이오 傷暑(상서)의 脈(맥)은 아니므로 비록 夏月(하월)이 라
하더라도 暑證(서증)과는 관계가 없으며, 만일 惡寒(오한)능 見(견)하고 혹은 四肢(사
지)가 逆冷(역냉)하며 甚至於(심지어) 迷悶不省(미민불성), 霍亂吐利(곽 란토리), 痰滯
吐逆(담체토역), 腹滿瀉利(복만사리)하는 것은 모두다 暑傷(서상) 이 아니오 因暑自致
(인서자치)의 病(병)이다.
治暑(치서)의 大法(대법)은 濕熱 (습열)을 去(거)하고 心臟(심장)을 말키며 小便(소변)
을 利(이)롭게 함을 위주하 고 氣(기)가 傷(상)한 자는 眞氣(진기)를 補(보)해야 하는 것
인데 舍岩(사암)은 內經(내경)의 暑汗煩則(서한번칙) 喘渴(천갈) 陰濕(음습) 靜則(정
칙) 藏熱(장열) 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上(상)의 見證(견증)을 列擧(열거)한 후에 “此
(차)는 表也 (표야)”라 하고 “暑者(서자)는 心弱(심약)”이라하여 心經正格(심경정격)을
用 (용)하였을 뿐이므로 不得已原文(부득이원문)에 依(의)하여 아즉 抄記(초기)해 둔
자.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單用(단용)에는 大敦(대돈) 少府(소부) 補(보),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사). 小兒(소
아)인 경우에는 少冲(소충) 1穴(혈)을 補(보)하면 神效(신효)하다.
註 懊憹(오농) : 《상한론》에 소개된 것이다. 《왕필창․의계변증》에서는 “오농의 증상은 심하의
열이 마치 불과 같이 뜨거워 불안케 하는데 토하게 하면 멎는다.”라고 하였다.
이 것은 횡격막 사이가 뜨겁고 嘈雜感(조잡감)이 나는 것을 자각하는 증상이다. 병부위가
횡격막의 명치끝에 있기 때문에 이를 心中懊憹(심중오농)이라고도 한다. 병인이 대부분 표
증인 것을 誤治(오치)로 發汗(발한)하지 않았거나, 瀉下葯(사하약)을 씀으로 해서 外邪(외
사)가 里(리)로 들어가 횡격막에 자리 잡음으로써 병세가 胃部(위부)에 미치게 되어 발생한
다. 급성열병 혹은 위장염의 병적 과정에서 나타난다.
Comments